뉴스
"실리콘"(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도 등장… ‘특수 반도체’ 개발 열풍동아사이언스 l2017.01.11
- 이 결과 회로 선폭이 넓게 설계된 종류, 기본 소자를 흔히 쓰는 실리콘(Si)이 아닌 실리콘카바이드(SiC)로 만든 종류가 방사선에 훨씬 더 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가장 방사선에 강한 소재와 부품만을 모아 원전용 전자기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정경민 원자력연 ...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300㎞ 달리게 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0
- 반복해도 성능 감소가 19%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레니움이 형성한 보호막이 실리콘 나노입자의 팽창도 막아 주기 때문이다. 즉, 하루에 1회 충전할 경우 4년 동안 사용해도 성능에는 큰 지장이 없다는 뜻이다. 엄 교수는 “휴대전화 배터리로 사용할 경우, 현재 수준과 같은 용량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억 개가 배치돼야 하는 반도체 칩은 다른 차원의 얘기다. 따라서 집적도는 높지 않지만 실리콘반도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수한 분야에 한해 개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즉 정교한 구조가 개입되는 하이테크(high tech) 쪽은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반면 탄소나노튜브가 첨가제로 쓰여 소재의 ...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변화가 없을 정도로 신축성이 좋다. 옷을 짜듯이 비틀거나 뾰족한 물건으로 찔러도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 소자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힘껏 잡아당겨 늘이면 전기전도도가 평상시보다 약 6.8% 감소했지만 성능에는 지장이 없는 수준에 그쳤다. 바오 교수는 “전자피부 같은 피부 밀착형 ...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문제를 해결할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의 상용화에 한걸음 다가섰다. 10년 안에 실리콘 기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연구의 1저자인 이동일 KAIST연구원은 “차세대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의 성능 개선과 더불어 실효성 또한 높아질 것”이라며 “이미 충분히 검증된 기존 ... ...
- 단체마다 다른 색깔, ‘과학기술계 10대 뉴스’ 어떤 차이날까?동아사이언스 l2016.12.23
- 페놀폼용 수지 중합 및 발포 기술(LG하우시스) ▲재료자원공학 ⑭10nm급 반도체 소자용 실리콘 단결정 개발 (LG실트론), ⑮에너지 산업용 고성능 고Mn강 제조기술 세계최초 상업화(포스코) 공학뿐 아니라 수산업분야에도 10대 뉴스가 발표되고 있지요. 올해도 국립수산과학원(수산원)이 한해 수산분야 ... ...
- ‘물에 넣으면 정보가 싹~’…보안용 메모리 반도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6.12.22
- 수 초 내로 줄이는데 성공했다. 연구를 주도한 배학열 KAIST 박사과정 연구원은 “기존 실리콘 기판 기반의 기술 대비 10분의 1 수준의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며 “소량의 물로 빠르게 폐기할 수 있어 향후 보안용 소자로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노트북에서 나오는 열로 다시 노트북 충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 교수는 “열을 전기로 바꾸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진 실리콘 반도체를 이용해 고성능 열전소자를 제작한 첫 사례라는 의미가 있다”며 “폐열을 능동적으로 회수하는 기술로 노트북, 휴대폰, 의류, 의료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 ...
- SF영화의 ‘레이저 무기’, 한 걸음 더 현실로!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기초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및 공주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실리콘 카바이드(SiC)’란 특수소재를 사용해 유효지름 160㎜ 수준의 ‘냉각형 고속변형 반사경’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반사경은 내부에 냉각장치가 있어 레이저 무기를 가동할 때 나오는 뜨거운 열에도 ... ...
- 투명한데 휘어지기까지… 신기한 반도체 등장동아사이언스 l2016.12.06
- T로만 만든 박막에 비해 구조적 결함이 적어 전류가 4배나 잘 통했다. 기존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은 딱딱하고 불투명해 새로운 형태의 전자 장비를 만드는 데 제약이 있었다. 최근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 등 유기 고분자가 등장하면서 유연한 반도체를 만들 수 있게 됐으나 역시 불투명하다는 한계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