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뉴스
"
인지
"(으)로 총 2,514건 검색되었습니다.
약 한 알로 집중력이 쑥쑥?...‘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
과학동아
l
2023.05.27
실험군에게 애더럴(암페타민이 함유된 ADHD 치료제의 일종)을 투여한 결과, 애더럴이
인지
기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doi: 10.3390/pharmacy6030058) 부작용을 감수하면서, 효과가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약을 먹는 건 좋은 선택이 아니겠죠. ADHD치료제를 각성제처럼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
인지
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 ...
[과학게시판] IBS, 제4회 고교생 뇌과학 캠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6
제공.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사회성연구단이 ‘제4회 IBS 고교생 뇌과학 캠프(HiBST)’를 7월 24일부터 8월 4일까지 2주간 대전 IBS 본원에서 개최한다. 올해 4회를 맞는 HiBST는 뇌과학자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과학문화 프로그램이다. 6월 1일부터 15일 18시까지 IBS 홈페이지 HiBST 2023 모집 ... ...
"노년엔 '너무 매운음식' 주의해야…
인지
기능 저하 부를수도"
연합뉴스
l
2023.05.26
임상적 근거를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다만, 매운맛이 덜하거나 순한 매운맛은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없었다는 점을 평소 식생활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동탄성심병원 제공]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혈액-망막 장벽 손상은 치매 예고 신호"
연합뉴스
l
2023.05.24
들어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치매에 몇 년 앞서 나타나는 경도
인지
장애 환자도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된 것을 보면 이러한 현상은 본격적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오래전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혈액-망막 장벽 손상은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 ...
음식 사진 반복해서 보면 '포만감' 느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대답한 참가자 비율이 오히려 늘었다. 연구팀은 사진을 반복해서 보는 행위가 뇌의
인지
능력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음식물을 먹는 것을 상상할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이 실제로 음식물을 먹을 때 자극을 받는 뇌의 영역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연구를 이끈 안데르센 교수는 “우리의 뇌는 ... ...
"뇌졸중 후 고혈당, 뇌 기능 저하 촉진"
연합뉴스
l
2023.05.23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포괄적인 치료 전략이 없다. 이 결과는 뇌졸중 후 고혈당이
인지
기능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따라서 뇌졸중 생존자는 의료진과 혈당 측정과 함께 최선의 혈당 관리 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 ...
“모르는 건 모른다”고 말한다…AI가 미학습 데이터 식별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22
“이번 연구성과를 발전시키면 딥러닝 모델이 인식된 결과를 스스로
인지
하는 메타
인지
능력을 얻을 수 있다”며 “모르는 것을 아는 것으로 잘못 인식해 발생할 수 있는 막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 운행 중 동물을 사람으로 잘못 인식해 ... ...
알츠하이머 치매 20~30년 늦추는 유전 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변이로 만들어진 단백질 릴린이 타우 단백질이 쌓이는 것을 방해하면서 기억력이나
인지
력이 감퇴되는 것을 막은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2019년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APOE 단백질을 지녔지만 이 단백질에 변이가 생겨 평균보다 30년 늦게 알츠하이머가 발병한 여성을 확인한 바 있다. ... ...
빙하기·간빙기 겪으며 인류가 살아남은 이유..."생물 다양성 찾아다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자원이 가까이 있는 자연환경을 선호한 셈이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선택이 도구 개발과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쳐 극한의 변화에 대한 호모 종의 회복력과 적응력을 늘렸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번 연구에는 IBS가 보유한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가 활용됐다. 슈퍼컴퓨터는 최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