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그램
program
프로젝터
프로젝트
전문가
전문
프로페셔널
뉴스
"
프로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통화 시스템도 개발했다. 10년 조금 넘는 연구원 근무 기간 동안 그녀의 목표는 ‘진정한
프로
가 되는 것’이었다. 필요할 경우 밤샘도 불사했다. 궂은일을 남몰래 처리하는 세심함도 보였다. 이후 남성 위주의 대기업 문화에 적응하는 데 이 때 쌓은 ‘스킬’은 큰 도움이 됐다. “국가기관과 ... ...
대박 난 FA 야구선수들, 과연 내년에 활약할까?
2014.11.30
농담처럼 회자되던 이야기가 사실로 밝혀진 것이다. 연구진은 미국 메이저리그(MLB)와
프로
농구(NBA) 선수 230명을 대상으로 득점과 타율 등의 통계 분석을 시작했다. 시즌 동안 500분 또는 300이닝 이상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이 계약을 맺기 전 시즌과 그 전 시즌, 그리고 계약한 뒤 첫 시즌에 어떤 ... ...
게임으로 난치병 치료할 수 있을까
2014.08.26
위해 반복적으로 훈련을 하면 뇌도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프로
스페리니 교수는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반복 훈련이 신경 세포의 보호막 생성 작용을 강화하는 것으로 추청된다”며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재활 치료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채널A] 수학자 vs
프로
기사, ‘수 싸움’ 누가 더 강할까
채널A
l
2014.08.21
‘안형(眼形)’을 만들면서 실수를 했는데 곧바로 코너에 있는 돌들이 모두 잡혔습니다.
프로
9단과 바둑을 둘 때 흔히 있는 일이죠.“ 바둑판의 교차점 361곳에 어떤 순서로 돌을 놓느냐에 따라 10의 472제곱 가지 경우의 수가 나오는 바둑. 바둑을 두는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은 6점이나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이창호 9단이 수학자대회에?
2014.08.19
많은 관객들이 바둑을 통해 수학과 가까워지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다면기 대국은
프로
기사가 아마추어를 지도해주는 대국의 한 종류로, 이날에는 수학자와 수학과 학생 25명이 참가했다 ... ...
포스텍 ‘공돌이’들의 ‘
프로
젝트 런웨이’
과학동아
l
2014.08.01
‘스마트의류’ 부문에서 1위에 오르며 눈길을 끌었다. 친주예 FIT 교수는 “이
프로
그램에 참가한 공대생들은 패션 디자이너와 과학자들이 함께 일하는 모습과 그 과정을 통해 융합의 현장을 미리 경험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③] “수학은 '슈퍼 섹시'한 학문입니다”
과학동아
l
2014.08.01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는 수학자들뿐 아니라 일반 대중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
그램이 마련돼 있다”면서 “이번 대회를 계기로 수학을 친근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향후 한국 수학이 한 단계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알료사다. 표도르에게는 비공식 아들이 또 있었으니 하인(요리사)으로 부리는 스메르쟈꼬
프로
그가 거지를 건드려 낳은 자식이다. 표도르가 아버지를 모델로 했다면 형제들은 도스토예프스키 자신의 분신이다. 즉 첫째 드미트리는 세속적인 격정을 지닌 측면을, 이반은 무신론 혁명가 시절의 ... ...
흑돌·백돌이 저절로 분류되는 신기한 바둑판
과학동아
l
2014.07.24
마치 체를 치듯이 백돌, 흑돌이 분류된다. 최 군을 지도한 채희옥 등원중 과학교사는 “
프로
바둑기사들이 가장 편안해하는 바둑판의 높이가 24cm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이 점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말했다. 최 군은 여러 차례 실험을 통해 24cm 높이 바둑판에서 바둑돌을 가장 잘 분류할 ... ...
[단독]태극전사 실패한 8강 신화, 로봇으로 이룬다
과학동아
l
2014.07.21
대회 본부에서 지정한 키 60cm의 표준 로봇 ‘나오(NAO)’를 써야 하며 각 팀은 제어
프로
그램만 자유롭게 짤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어덜트 리그의 난이도가 가장 높다. 휴머노이드는 키가 클수록 무게중심이 높고 제어도 까다로워 잘 넘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덜트 리그는 1대 1로 승부차기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