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핵인"(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IBS l2014.06.12
- 김경택 교수가 레이저 펄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앞으로 김 교수의 연구그룹은 초강력 레이저로 아토초 펄스를 생성하고 측정할 예정이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빛고을' 광주의 북서쪽에 위치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곳에는 빛고을이란 이름에 걸맞게 초강력 레이저를 개발하고 ...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KOITA l2014.04.17
- 지구 반대편에서 엉뚱한 집을 꿈꾼 사람이 있다. 미국 뉴욕에 사는 이 젊은이들은 예술가적 아이디어와 독특한 뚝심으로 최근 궁극의 친환경 주택을 짓고자 하는 꿈을 실현시켰다. 특이한 생물을 재료로 이용해서 난분해성 건축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집이다. 도대체 무엇으로 지었기에 화제가 된 ...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올 해도 어김없이 따뜻한 봄이 왔다. 감수성이 그리 풍부하진 않지만 해마다 이때쯤이면 왠지 꽃이 아름다워 보인다. 차도에 한가득 핀 노란 개나리도, 산책로에 팝콘처럼 핀 벚꽃도 왠지 ‘나, 살아있었어’라는 나무의 외침 같다. 어쩜 봄만 되면 일제히 꽃이 필까? 분명 봄과 가을은 기온이 비슷 ...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채널A l2014.04.10
- 수색 가능성이 희미해진 말레이시아 여객기의 블랙박스를 찾는데 영국은 핵 잠수함까지 보냈습니다. 앞으로 남은 시간은 4일. 세계 각국이 총동원한 첨단 장비들이 블랙박스를 찾아낼수 있을까요?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저 3840m에서 발견된 타이타닉 호. 실종된 여객기는 이보다 더 깊은,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1883년 멸종한 콰가는 얼룩말과 말을 섞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1984년 콰가의 미토콘드리아 게놈 일부가 해독돼 이 동물이 얼룩말에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논문은 고게놈학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870년 런던동물원에 있던 암콰가. -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2012년 8월호 ‘과 ... ...
- 별에서 온 운석, 높은 연구 가치로서 운석 판별법 KISTI l2014.03.24
- 2014년 3월 9일, 한반도를 방문한 별(소행성)에서 온 그대(운석)가 진주에서 발견되면서 이곳에는 운석 사냥꾼들이 몰리고 있다고 한다. 운석의 가장 높은 가치는 과학자들이 직접 우주의 물질을 만져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샘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많은 표본을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 시 ...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동아사이언스 l2014.01.27
- “그가 일으킨 엄청난 일들과 그 결과 그의 경력은 끝났다는 대다수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황 박사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네이처’ 기사 中) 2014년 들어 라이벌 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마치 기사를 두고 누가 잘 썼나 경쟁이라도 하듯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최근 근황을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동아사이언스 l2013.12.30
- 나이든 사람들이 자신들은 결코 그 그늘 아래 쉬지 못할 걸 알면서도 나무를 심을 때, 그 사회는 위대해진다. - 그리스 경구 15. 프레드 셔먼 (1932. 5.21 ~ 2013. 9.16) 과학을 즐긴, 가슴이 따뜻한 유전학자 프레드 셔먼 - 미국 로체스터대 제공 연구능력이 뛰어난 과학자이지만 선생으로는 자질이 없는 사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7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7편에서는 원자로 물리를 연구하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 주한규 교수를 만난다! 원자핵공학은 어떤 학문일까? 이에 관한 주 교수의 미니강연을 들어본 뒤, 주 교수가 ... ...
- [채널A] 초소형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채널A l2013.12.18
- [앵커멘트] 치명적인 박테리아가 우리 몸에 들어가 암세포를 없앤다,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이런 박테리아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암 치료에 새로은 길이 열릴 전망입니다. 이현경 과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사와 복통을 유발하는 살모넬라균. 여기에 항암제가 담긴 캡슐을 붙였 ... ...
이전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