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7,30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02
분해능으로 측정하는 장치. 2개의 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하고 있다.광구(photosphere) 태양을
눈
으로 볼 때 동그랗게 보이는 태양의 표층.태양풍(solar wind) 태양에서 방출되는 태양 플라스마의 흐름.플레어(flare)와 홍염(prominence) 태양 자기장이 소멸할 때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급격히 내놓으면서 광구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02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이 가운데 특히
눈
여겨볼 것은 CD-I(interactive). 컴퓨터 주변장치로 작동하는 다른 ‘CD의 친구들’과 달리 달리 그 자체가 CPU(모토롤러 68000)를 가진 완전한 시스템이다. CD-I는 기존매체와 달리 쌍방향 매체로 1986년 처음 발표됐다.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02
스포츠의학이 도입된 병원에 들어서면 ‘헬스클럽’ 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운동기구가
눈
에 띈다. 먼저 검사대상자는 일반병원에서와 마찬가지로 간 심장 폐 신장 등에 대한 검진을 마친다. 이후 의사는 근력 순발력 민첩성 등에 대한 체력 측정과 함께, 검사대상자에게 운동기구를 이용해 운동을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02
단어로 전환하는 경로의 첫 단계는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생각하거나
눈
으로 보는 것이다. 라마를 예를 들어보자. 알고는 있지만 흔히 쓰지 않는 단어를 떠올릴 때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어휘망 혹은 개념 : 이미지는 라마에 대한 어휘장치 혹은 결절을 활성화시켜 우리의 뇌가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01
0을 수의 시발점으로 삼아 10진법을 사용한 것은 마야인이 처음이었다. 그들은 0을 얼굴
눈
동자 꽃 그림 등으로 표시했다.경제조직 천문학 일력 숫자 예술 문학 등의 분야에서 경이로운 발전을 이룩했던 마야문명. 그러나 아메리카 대륙 전체를 통틀어 최고의 문명을 자랑하던 마야는 15세기 중엽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01
용어설명라이소자임(Lysozyme) : 외부와 접촉하는 점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의 일종.
눈
물 콧물 침 우유 계란흰자 등에 존재한다. 이 효소는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해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01
것이지만 각 셸 사이의 선을 나타나게 했다. 또한 요일을 표시하는 줄에 음영을 드리워
눈
에 띄게 만들었다.②언뜻 보면 매우 어려운 느낌을 주는 디자인이지만 셸 사이를 선으로 이어보면 커다란 하나의 표임을 알 수 있다. 셸 사이사이의 선을 교묘히 지움으로써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 것이다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01
손가락과
눈
으로 기(氣)를 보내면 숟가락 접촉부위가 말랑해지는 느낌이 옵니다.” 잠시
눈
을 감은 이재석씨가 어느 순간 새끼 손가락으로 숟가락 끝을 잡아당기자 숟가락은 엿가락처럼 휘어졌다. 그는 다시 숟가락을 만지작거리다 왼쪽으로 당겨 꼬인 숟가락을 만들었다. 얼마전까지는 엄지 ... ...
군고구마 네온사인
과학동아
l
199601
스탠드를 켤 수 없는 물질은 무엇일까.(1)생고구마 (2)군고구마 (3)탄고구마 (4)찐고구마 (5)
눈
이 묻은 털장갑 (6)강아지 발바닥 (7)달걀 껍질 (8)땅콩 (9)된장국 (10)납 (11)초전도체 (12)얼린소금물 (13)바나나껍질 (14)껌종이(은박지) (15)햄이나 소시지 (16)유리 (17)풍선 (18)과자 (19)립스틱 (20)젖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01
있다고 하지만, 논리 비약이나 잘못된 해석에 의해 성립된 이론은 우리의 다른 한쪽
눈
을 멀게 할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환경분야에도 정확하게 검증되지 않은 많은 과학적 내용들이 최근 급속하게 일반인에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기오염에 따른 피해는 몇가지 돌발적인 사고를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