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가를 끝없이 유혹한다 영구기관은 영원히 불가능?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덧없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특허청 기계심사관인 박민수씨는 이들이 "물리학이나
공학
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없이 수십년간 독학으로 연구를 계속한 경우가 많으며 젊은 사람들은 거의 없다"고 전하면서 "실현성이 없는데도 전문적인 과학기술의 도움없이 발명에 매달리는 사람이 많다"고 ... ...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분야의 연구개발사업 중장기계획에 따라 서울공대, KAIST등의 전자
공학
과 기계
공학
과 항공
공학
과를 중심으로 특정연구과제를 공동수행하는 등 관련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나아가서는 민간기업과의 공동사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가서는 우주과학 기술개발을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닉」이 띄워진 이래 세계 각국은 3천5백여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였다. 인공위성이라는 것은 자연 또는 인공의 모체(母体) 주위를 추진 동력없이 계속 회전하는 인공물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모체의 인력(또는 중력)과 위성회전시에 생기는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게 ... ...
종합생산관리 전산시스팀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
공학
센터 OR그룹 박상봉실장팀은 다품종 소량 주문생산체제에 적합한 저가격의 생산관리 전산시스팀을 개발 완료하고 범용패키지화를 위한 현장 운용시험에 들어갔다.보급형 마이크로컴퓨터(5천만원 이하)를 이용, 최대 1천종 이상의 제품생산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이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 이론을 전자회로에 비유하여 알기 쉽게 풀이하였다. 맥도날드와 쏜의 기지에 찬 전자
공학
적 해석을 이제까지 기술한 거대한 블랙홀에 대한 지식을 총동원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그림2)에는 거대한 블랙홀과 그 주위 유입물질원반의 안쪽 끝부분이 검정색으로 나타내져 있고, 그리고 포물선 ... ...
중환자와 가족에게 더할수 없는 기쁨 로봇 간호원의 시대 열리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다. 어쨌든 아직 사람 간호원정도로 머리와 손이 움직이지는 않지만 전자
공학
과 기계
공학
의 결합, 즉 메카트로닉스의 진보에 따라 이 로봇간호원의 능력도 날로 향상될 것이 틀림없다. 사람 간호원과 비슷해져도 고의로 사람을 죽이는 일 같은 것은 하지 않을 것이다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만들어낸 최대의 약품으로 그 시장규모가 10억달러에 달할 전망입니다. 이렇게 되면 생명
공학
연구자들의 사기도 올라가고 본격적인 호황기가 도래하겠지요. 국내적으로 보면 기본적인 과학기술정책은 큰 변동이 없을 듯합니다. 투자라든가 인력양성도 86년에 나온 '2천년대를 향한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 일을 수행하는데는 물리 수학은 물론 기계
공학
전자·통신
공학
재료·화학
공학
항공
공학
등 이제까지 인류가 발견하고 창조한 지식과 기술이 총동원된다. 이렇게 하여 선정된 여러개의 계획안은 다음의 설계결정 단계에서 대체분석 및 예비설계 등을 거쳐서 최종설계안이 결정된다. 이과정에는 ... ...
KCRC 올해의 인물상 체신부 오명장관 선정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국컴퓨터기자클럽(KCRC)이 제정한 87년 '올해의 인물상'에 체신부 오명 장관이 선정되었다.매년 정보산업분야에서 공로가 뛰어난 인물을 선정하는 KCRC ... 출생한 오장관은 경기고와 육사(18기), 서울공대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주립대에서 전자
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전형적인 테크노크라트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우수한 기능을 갖췄다고 한다. '황포돛단배띄움회'의 사무국장인 이우원씨로부터 조선
공학
적 견지에서 본 한선의 우수성을 알아보았다. 세계에서 가장 앞선 방향타 우선 겉으로 보아서 한선은 앞끝이 높이 치솟은 모습을 하고있어 파도를 타거나 배의 안정성에 유리하다. 또 앞부분의 물과 닿는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