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9,99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02
IPv6. 기존의 32비트 주소체계인 IPv4를 대체할 새로운 인터넷 주소 체계로 보면 된다.
모두
1036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는 IPv6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에 대해 인터넷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개발됐다.네트워크 기술과 IPv6가 기본 골격을 이룬다면 모든 사물에 들어가는 극소형 칩과 센서,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02
전달한다. 미래형 상점 ‘씬숍’(Thin Shop)에서는 사고 싶은 물건을 감지만 할뿐 상품들은
모두
집에서 받아본다. 대부분의 생필품 광고는 개인 휴대단말기나 탁자 표면을 통해 이뤄지는 것은 물론이다.사무실과 가정, 거리, 공원 등 물리적 공간의 경계는 결국 허물어질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키이츠는 뉴턴이 ‘무지개를 프리즘 색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무지개에 관한 시를
모두
파괴해 버렸다’고 불평하기도 했습니다. 저는 그의 시에서 따온 ‘무지개의 신비를 풀며’라는 제목으로 정반대의 메시지가 담긴 책을 몇해 전에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과학적 발견이 많아질수록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02
C153은 ‘아벨2125’라는 은하단에 속하는 은하다. 그림에서 C153 배경에 나타나는 것들이
모두
은하다. 놀랍게 아벨2125는 또다른 은하단과 1억년 전쯤 충돌했고 지금도 두 은하단의 충돌은 끝나지 않았다. 그림에 나타난 C153의 모습은 두 은하단이 치른 전쟁의 결과다.구체적으로 C153이 상대 은하단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에테르는 연금술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으로는 존재했지만 현재에는 이론과 실험에서
모두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1초당 1백만 비트(bit)의 전송속도 1비트는 전기가 한번 깜박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2진법의 0또는 1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Gb/s는 1초당 10억비트, Tb/s는 1초당 1조 비트의 전송속도를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02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실험실 환경에서만 자랄 수 있는데다 유해한 유전자가
모두
제거됐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그러나 최근의 유전자변형 농산물 논쟁에서 보듯 인간이 거꾸로 돌린 진화의 수레바퀴가 잘못된 길로 접어들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인류가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02
훌륭한 과학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과학사는 지금까지 과학자들이나 역사학자들 양쪽
모두
에게 별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조선과학인물열전’은 과학사 연구의 척박한 풍토 속에서 5천년 한국사를 이끌어온 과학기술인들의 숨은 이야기를 엮어낸 책이다. 우리가 익히 아는 문익점, ... ...
DLP 고선명(HD) 프로젝션 기술
과학동아
l
200402
잔상 때문에 자주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DLP칩 1개는
모두
1천6백70만개의 색을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합성된 빛들이 한화면에 비쳐지면서 고화질 영상이 완성된다(04).최근 소식디지털영화 제작과 배본에 앞장서고 있는 집단은 역시 할리우드쪽. 이 가운데 조지 ... ...
인간 로봇 혼성 축구팀 창단
과학동아
l
200402
때는 물론, 경기 중 뒤로 밀려도 부드럽게 후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인간과 로봇
모두
같은 가속력과 스피트, 회전 능력을 갖추게 되며 공을 차는 방식에도 차이가 없다.이번 실험을 통해 인간과 로봇이 언제 어떻게 소통하고, 골을 넣기 위해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는지에 대한 폭넓은 ... ...
기술부총리 신설
과학동아
l
200402
확립되지 않는 한 과학기술정책을 총괄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한편 3개부처 장관이
모두
전자공학과 출신이어서 기초과학이 소홀히 다뤄지지 않겠냐는 우려도 있다. 서강대 화학과 이덕환 교수는 “신임 장관이 활발히 움직이는 것은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다만 기술분야에 너무 치우치는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