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합인재교육(STEAM)에 딱 맞는 딱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달리, STEAM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만든 최초의 교구다.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을 섞은 교육을 STEAM으로 오해하지만, 사실 STEAM의 핵심은 ‘문제 해결’이다. 즉 융합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일 뿐, 목표가 아니라는 것이다.딱스는 STEAM 중 2가지 이상을 융합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것과 안 한 것은 차이가 많아. 이렇게 하면 2학년 때 수학은 뒤처지지 않을 거야.”최근 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가 낮아졌다. 대학별로 반영하는 비율도 낮아지는 추세다. 때문에 대학별 고사에 대한 준비가 필수다. 상위권 대학은 수리논술의 비중이 크다. 수리논술 준비는 2학년 겨울방학 때부터 ...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언제나 손에서 놓지 않는 휴대전화나, 학교가 끝나고 집에 가며 먹는 떡볶이 같은 물건에는 가격이 있다. 물건뿐만이 아니다. 버스나 기차에 ... 특히 수리경제학, 계량경제학, 통계경제학, 금융공학 등 경제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수학을 중심으로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문화재를 파먹으면 아니아니~ 아니 돼요!” 그런데 아무리 안 된다고 설득해도 흰개미는 도통 말을 듣지 않아. 그렇다면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 ... 독자들 중에서도 훗날 수리연에서 연구하는 박사님이 분명 나올 거라 믿어. 그 땐 수학동아가 가장 먼저 인터뷰하러 달려갈게 ...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시도였다. 그로부터 15년이 넘었지만 물리학자들은 여전히 구겨진 종이를 완벽하게 수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힘 센 장사나 10살 소녀나 구기는 힘은 거기서 거기롭코브스키는 1996년 박사 학위를 받고 대학을 떠났다. 하지만 그를 지도한 위튼 교수는 구겨짐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다. ...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풍경이든, 용어는 중요하지 않다. 우주는 여럿 존재할 수 있다. 이론물리학자들이 수학을 정교하게 가다듬고 천문학자들이 더 많은 자료를 관측해 모으면 우주의 참모습은 밝혀질 것이다. 지금 독자인 우리가 할 일은, 이런 과정을 책상에 앉아 읽으며 드넓은 우주를 상상하는 황홀한 체험을 놓치지 ...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노래가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자 많은 친구들이 환호성을 질렀어. 아름다운 화음 속에도 수학 원리가 있을까? 1단계 아름다운 음의 비밀은 정수비!피아노 소리, 유리잔이 청아하게 울려 퍼지는 소리, 라디오에서 시간을 알려 줄 때 나오는 기계음과 소음까지 세상에는 여러 소리가 있다. 이 중 ... ...
- 수학이 살아 숨쉬는, 여기는 이탈리아!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차오~!” 반갑게 인사를 나누는 이탈리아 사람들의 인사 소리에 이탈리아에 도착했음을 실감했다. 피자와 파스타의 나라, 축구를 사랑하는 나라, 우리나라와 ... 진정한 수학(Math)여행이었다.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웅장하고 화려한 이탈리아의 역사와 문화는 수학이 있어 더욱 풍성했다 ... ...
- [생활] 삼세번이 진리, 완성의 수 3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나타나는 도형으로, 들쭉날쭉한 주름이 특징이다. 프랙탈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웨덴의 수학자 로베르트 코흐가 소개한 ‘코흐의 눈송이 곡선’이 있다. 이 코흐의 눈송이를 얻기 위해서는 숫자 3과 무한반복이라는 인내심이 필요하다.코흐의 눈송이를 만들려면 정삼각형의 각 변을 3등분한 뒤, 한 ...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수수께끼를 풀 때도 단서를 이용해 논리를 따져가며 정확한 대답을 찾아가잖아요. 수학도 수수께기와 꼭 닮은 아주 흥미진진한 학문이랍니다.수수께끼 풀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수 체계부터 흥미를 잃지 않는 게 중요하다는거, 꼭 기억하세요 ... ...
이전5675685695705715725735745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