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더 이상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열적으로 우주에 종말이 온다. 물론 그러기 훨씬 전에 태
양
의 온도와 지구의 온도가 같아질 것이고 지구에는 더 이상 생물이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함께 생각합시다.1. 시계방이나 구두점을 지나다가 보면 계속 같은 동작을 반복하며 움직이는 장치를 볼 수 있다.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웅성 형질이 이런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록키산맥 야생
양
의 큰 뿔은 성적으로 성숙하면서 자라는데 나중에 암컷을 놓고 경쟁하는 수컷에게 힘이 된다.두번째 방법은 암컷에게 매력적으로 보임으로써 선택되는 방법이다. 이 예로 수공작새를 들 수 있다. 수공작의 화려한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동안 열손실에 의해 물이 얼음으로 변해서 파생된 엔트로피의 감소보다 훨씬 많은
양
의 엔트로피를 주변에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냉장고 전체를 고려해보면 국소적으로 냉동실에서 물의 엔트로피가 감소하여 얼음으로 변화했지만 냉장고 전체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고 있다.이와같이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 뿌리에서는 아브시스산이 자극 쪽에 모여서 생장을 억제하므로 아래쪽으로 굽는(
양
성 굴지성) 것이다. 두번째로, 옥신은 중력에 의해 아래에 이동하고 가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그림 11)과 같이 된다.그런데 식물 기관에 따라 옥신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므로 생장량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옥신의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사업이 이어졌으면 한다"며 "최근 암치료용이나 핵폐기물처리용으로 각광받고 있는
양
성자 가속기 개발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우리의 과학기술역사에서 기초과학에 대한 최초의 '투자다운 투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기술입국을 부르짖으면서도 10년, 아니 5년 ... ...
1. 13살 컴퓨터 입문-30대 미국 제일 재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많은 시간을 이 저장장치의 연구에 골몰하는 것으로 보냈다.작은 디스크에 방대한
양
의 정보를 저장하는 이 신기술이 엄청난 시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당시로선 많지 않았다. 하지만 사정은 여전히 그의 전망처럼 진행돼 이제 CD-ROM 없는 멀티미디어시대는 무의미할 정도가 됐다. 이로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지니는 크기와 모
양
은 개별 결정의 특징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결정의 크기와 모
양
은 그 결정의 원자배열 속에 들어 있는 특정한 내용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결정의 성장과정을 통해서 복제된다. 점토의 결정체가 주변에 있는 물에 용해된 원자에 부착되어 커질 때, 새롭게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전선이 통과하면 기압이 낮아지고 기온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물고기가 물 속에 산소의
양
이 적어져서 물위에 나와 호흡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개미가 열을 지으면 비가 온다개미들이 비가 올 것을 미리 알고 안전 지대인 잔디풀 밑이나 나무 그늘로 피난한다고 생각된다.○ 새벽 안개가 짙으면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전국 공개 관측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사람들의 동경인 먼하늘 천체들과 태
양
계의 행성을 망원경으로 직접 관측하여 우주의 신비를 조금이나마 가까이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고자 합니다.□ 대상:초중고 대학생 및 일반인 누구나□ 일시:1994년 11월 18일(18시-21시)□ 장소서울:대학로 마로니에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대한 두가지 상이한 관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하나는 그들이 펭귄의 뼈와는 다른 모
양
으로 배열된 뼈를 이용하여 펭귄처럼 걸었다는 것이다. 영국의 고생물학자 사이에 널리 퍼진 또다른 의견은 익룡의 뒷다리가 어색하게 뻗쳐 있었으며 이것이 익룡으로 하여금 기어다니게 했으리라는 것이다.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