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우리 풍선은 기존 기록인 32일을 깨며 40여일이나 하늘에 머물렀을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지난
한 달 동안 헬륨와 산소 원자핵으로 구성된 우주 입자가 검출됐다. 이들이 우리가 찾는 초고에너지 입자인지 확인하려면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른다.지도교수인 박일흥 교수는 늘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MS에 대한 정책과 기술을 연구하는 디렉션 온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해 말 ‘마이크로소프트가 해결해야 할 2005년 10대 과제’를 발표했는데, 이 중 하나가 오픈소스 밀어내기였다. 서버 시장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시장에서도 리눅스와 파이어폭스 등 오픈소스의 힘이 날로 ... ...
전기의 웰빙선언, 직류로 돌아가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큰 문제를 갖고 있었을 때 테슬라라는 천재가 교류 송전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한 세기가
지난
지금 기술이 발전돼 직류 송전이 가능해지면서 교류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죽기 전 자신의 연구 노트를 모두 폐기한 테슬라가 자신의 노트 속에 혹 ‘기술이 더 발전되면 직류로 다시 돌아와야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건물 옆에 말뚝을 박고 가로 막대를 달아놓았다고 한다. 이런 데서 유래한 술집이 바다.
지난
1월 10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멋진 은하 사진이 공개됐다. NGC1300이란 이름의 이 은하는 언뜻 보면 바람개비 모양을 한 나선은하와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고된 양서류 5700종 가운데 30%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했다. 영국에서는
지난
40년간 나비종의 71%가 사라졌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영국 토종식물의 28%가 멸종했다는 소식도 들렸다.8위 _ 물의 구조 규명과학자들이 100년 이상 갖고 있던 물 구조에 대한 지식이 틀렸다는 점이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인슈타인을 신격화할수록 그의 천재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의미가 없어진다.
지난
40년 동안 아인슈타인의 뇌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아인슈타인 같은 세기의 천재의 뇌는 일반인과 무언가 다른 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인슈타인의 뇌가 성인 남성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태어난 닭이 불임이 아님을 관찰한 그는 1896년 이같이 주장했다. 그로부터 거의 100년이
지난
1994년 일본의 연구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해 다윈의 주장이 옮음을 입증했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새로운 품종을 얻는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다른 들닭이 교배돼 유전자가 섞였을 것이라고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004년은 관측이래 네번째로 더운 해였다. 더웠던 해 톱10 가운데 9건이
지난
10년 사이에일어났다. 기록적인 빈도의 허리케인과 태풍 등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로 보험업계의 비용도 최고치를 경신해 총 350억 달러(약 37조원)의 손실이 있었다.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조명도수확예정법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어두운 김알버트는
지난
주말 자가용을 타고 시외에 있는 수목원을 가다 길을 잃었다. 그러나 알버트는 걱정하지 않았다. 차에 달려 있는 차량항법장치(Car Navigation)를 켜자 부근 지도와 자신의 위치가 바로 떴다. 수목원으로 가는 지름길까지 나왔다.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알버트는 이렇게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그의 말처럼 그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평가는 사후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분분하다.분명한 것은 아인슈타인의 성공 뒤에는 수많은 도움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그가 낳은 풍성한 연구 결과에 반대하는 입장들 역시 그의 성공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무명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