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발전했다. 둘은 다시 만날 것 같지 않았다.그러나 기술과 예술이 다시 만날 때 얼마나
큰
시너지가 생기는지 모바일 산업이 입증했다. 애플 제품을 두고 예술품이라고 하긴 어렵다. 우리가 흔히 아는 예술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기술적인 관성에서 벗어난 것은 틀림이 없다.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목숨을 앗아가는 등 인간에게 너무나 많은 피해를 주는 태풍이지만 태풍이 일으키는
큰
파도는 바다를 수직으로 잘 섞어줍니다. 이렇게 수직으로 잘 섞이면 적조발생이 억제되기도 하고, 깊은 곳의 영양염들이 표층 가까이 이동해서 이를 먹고 사는 여러 해양생물들이 크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 ...
[10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적이 있다. 하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것과 사람들이 듣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얘기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내용을 읽는 사람에게 전달할까를 고민하는 것은 기사의 시작이자 끝일 정도로 중요하다. 이번호에 선정된 과동 choice와 과동 pickup은 모두 지난 8월 초 열린 청소년기자 ... ...
Part 3. 미래전은 5차원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모든 무기와 병사들은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이버전에서 패배한다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병력집중 벗어나 고효율 정밀타격전정밀유도무기의 발달로 미래전은 무분별한 파괴보다 정밀타격전이 우선될 것이다.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에서 초정밀유도무기로 적의 전쟁 지휘부를 ... ...
[photo]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운반하는 일이 가장 힘들다. 어떤 통로는 너무 좁아서 사진과 캠핑 장비를 잔뜩 넣은
큰
가방이 통과하기 어렵다. 매끄러운 벽에 몸을 바싹 붙이고 선반처럼 튀어나와 있는 바위 위를 걸어야 할 때도 있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 불을 밝히다단순히 동굴 바닥까지 내려갔다 올라오는 데는 이틀이면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건물과 조각이 훼손되고 도난당했기 때문이다. 풍화에 약한 사암으로 지어졌다는 것도
큰
몫을 했다. 모래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사암은 퇴적된 뒤 구성물질에 따라 강도가 크게 달라진다. 화강암의 강도(kgf/cm2)가 500~1940, 대리암이 1180~2140인 것에 비해 사암은 266~674정도로 약하다. 퇴적물의 알갱이가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받았다. 체험단은 바다에 일렬로 서있다가 배에서 신호를 내리면 물을 첨벙거리고
큰
소리를 내며 배를 향해 물고기를 모는 전법을 사용했다. 야심차게 거대한 그물을 끌어 올렸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꽤 무거운 그물에 만선을 꿈꿨건만 그물에는 엄청난 양의 조류와 작은 실고기만이 걸려 있었다.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끝난 뼈는 나이와 상관없이 별로 차이가 없었고 개인차도 컸습니다. 할머니 가설은
큰
위기에 빠졌습니다.그래서 저는 레이첼 카스파리 센트럴미시건대 교수와 함께 새로운 방식의 연구를 했습니다. 연령 추측 방법이 정확하지 않으니 과감히 생략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구분할 수 있는 범위인 ... ...
장수비결, 자르면 오래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크다. 중년에 시작하기만 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소식을 하게 되면 유전자 발현에도
큰
영향을 미쳐 나이 들어 변하는 유전자 발현을 크게 줄인다. 주목해야할 것은 소식을 한 수컷 쥐의 유전자 발현 패턴이 암컷 쥐와 비슷해진다는 부분이다. 이는 유전자의 ‘여성화’가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접근해 보자. 브래드 터커 공룡주립공원 방문서비스팀장은 “중생대 백악기 말에 이곳은
큰
규모의 강이 흘렀던 것으로 추정되며 무리를 이뤄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센트로사우루스가 강을 건너다가 수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7500만 년 전 이 곳에 강이 흐르고 있었는데, 국지성 호우 등을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