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96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사체 재사용으로 탐사비용 대폭 절감”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은 세 번째 사용되는 로켓이다. 일론 머스크는 2016년 트위터에서 “부품의 거의 모두는
100
회 이상, (열에 의한 손상 위험이 큰) 열 차폐막 등은 10회 이상 재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적이 있어 3회 재사용은 시작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2020년 발사를 목표로 차세대 발사체 ‘아리안6’를 개발 중인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한국이 시도한 첫 발사체는 2002∼2013년 개발된 ‘나로호’다. 러시아와 공동 개발했으며
100
kg의 소형 인공위성(과학기술위성 2A, 2B)을 지구 저궤도(수백 km 상공)에 올릴 수 있도록 개발됐다. 2009년 8월과 2010년 6월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발사가 이뤄졌으나 궤도에 위성을 올리는 데 실패했고 2013년 ... ...
‘게임의 법칙’ 스스로 터득하는 AI ‘알파제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바둑 AI로 등극한 ‘알파고(알파고리)’와, 알파고의 후속으로 2017년 기존 알파고를
100
대 0으로 제압해 화제가 됐던 ‘알파고제로’의 뒤를 잇는 AI다. ‘범용’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바둑이라는 특정 게임에 머물지 않고 다른 종류의 게임도 스스로 통달할 수 있다. 알파제로가 여러 게임의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암흑물질 후보가 될 수 있게 됐다. 코사인-
100
팀은 이를 위해 현재 강원도 정선 지하 1
100
m에 보다 정확도를 높인 새로운 지하 관측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더 정확하게 암흑물질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성이 다른(질량이 작은) 암흑물질 탐색에도 나설 계획이다. ... ...
UNIST에 동물똥 쓰는 연료전지 발전소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반반씩 섞어 설비를 가동해볼 계획이다. 김 교수는 “향후 바이오 가스 비율을
100
%로 높일 것”이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SOFC 기술을 확보한 미코와의 공동 연구로 친환경 발전 시스템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협약 체결식과 함께 SOFC 기술 관련 세미나가 ... ...
‘암호깨기 전문가’ 천정희 서울대 교수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천 교수팀이 무력화시켰기 때문이다. 천 교수의 연구로 다중선형함수를 기반으로 한
100
개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 무용지물이 됐다. 암호학적 다중선형함수는 여러 명이 암호키를 교환하거나 암호를 읽기 어렵게 하는 난독화 등을 실현하기 위한 일종의 기반 기술이다. 2002년 처음 개념이 제안된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성간 천체로 2017년 10월 처음 발견됐다. 긴 쪽 길이가 수백 m, 짧은 쪽 길이가 약 수십~
100
m 정도인 길고 뾰족한 외형과 태양을 중심으로 포물선 모양을 그리며 움직이는 비행경로(쌍곡선 궤도) 때문에 SF 작가 아서 클라크의 장편소설 ‘라마와의 랑데뷰’ 속 우주선과 비교되며 널리 알려졌다. 지난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검댕이 수치화해 발표하는 미세먼지인 건 아니다. 즉 PM10(지름 10㎛(마이크로미터. 1㎛는
100
만분의 1m) 미만인 미세먼지)나 PM2.5(지름 2.5㎛ 미만인 초미세먼지) 자체는 너무 작아 맨눈에 보이지 않는다. 시청자들은 기자의 손에 묻은 검댕을 보며 충격을 받았겠지만, 기자의 폐에도 그 순간 함께 나온 ... ...
CMOS보다 효율 30배 높은 반도체 소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데 필요한 전압을 당초 4.5V에서 1V로까지 낮추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론적으론
100
㎷까지 줄이는 게 가능하며 이는 CMOS에서 쓰는 전압의 10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압이 낮으면 전력 효율이 높아져 효율도 최대 30배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사시칸스 마니파트루니 인텔 연구원은 “CMOS의 ... ...
세계 최고 수준
100
Gbps 연구용 빅데이터 전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연구자간 연동 대역폭 대비 99% 이상의 전송 성능을 기록했다. 대전과 미국 마이애미 간
100
Gbps급 글로벌 연구망에서는 최대 99.7Gbps, 대전과 남미 칠레 라세레나 간 60Gbps급 글로벌 연구망에서는 최대 59Gbps의 속도를 달성했다. 특히 대전-칠레 연구망은 향후 대전의 한국천문연구원과 칠레의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