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06
- 싸이클론, 태풍, 허리케인…, 위치만 다를 뿐 대표적인 열대저기압이다.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회오리 형태의 구름 모양이 선명하다. 이런 소용돌이가 바다 위에만 있을까. 그렇지 않다. 모든 바다 속에는 크고 작은 소용돌이 ‘에디(Eddy)’가 언제나 존재한다. 에디는 크기가 반경 몇 십m에서 100km가 ...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과학동아 l201206
- 해양과 대기의 상호 작용이 일으키는 대규모 기후 현상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엘니뇨와 라니냐다. 각각 스페인어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의미한다. 이 중 라니냐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5개월 이상 평년보다 0.5℃ 낮은 것을 말한다. 라니냐가 발생한 1967년과 1973년 우리나라의 ...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과학동아 l201206
- 여수세계박람회장에 밤이 오면 47m 높이로 설치된 디오(The-O)라는 원형 조형물 주위로 사람들이 모여든다. 매일 밤 9시 30분에 시작하는 빅오쇼를 좋은 자리에서 보려고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쇼가 시작되면 여기저기서 “와!” 하는 탄성이 수시로 터진다.먼저 옆으로 120m, 앞뒤로 10m 간격으로 3 ...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과학동아 l201206
- 전세계 지하철이 모두 똑같아진다? 경제나 도시계획, 법체계가 달라도 대도시 지하철은 규모가 커질수록 기하학적으로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물리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마르크 바르텔레미 프랑스 대체에너지및원자력에너지위원회 연구원과 강숭문 영국 런던대 경영과학혁신과 교수팀은 베 ... ...
- 전기 만드는 바이러스과학동아 l201206
- 미국 UC버클리 로렌스국립연구소가 바이러스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은 바이러스를 우표만한 크기에 촘촘히 모은 뒤 20층으로 쌓았다. 이를 금으로 만든 전극판 사이에 끼운 뒤 누르자 LCD 화면이 켜졌다. 생산된 전류의 양은 최대 6나노암페어(nA).실험에 쓰인 바이러스는 세균을 숙 ... ...
-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과학동아 l201206
- [UC 샌디에이고에서 키우고 있는 녹조류. 연못이 있는 곳이라면 세계 어디서든 자랄 수 있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 주사 대신 미역국을 먹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UC 샌디에이고 생명과학과 교수진과 샌디에이고 조류생물공학 센터 합동 연구팀은 녹조류(Chlamydomonas reinhardtii)에서 말라리아 ...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과학동아 l201206
- [자기 얘기를 하는 것은 음식, 돈, 섹스와 같은 즐거움을 준다. fMRI스캔에서 활성화된 뇌 부위가 동일하다.]전 세계 가입자 9억 명의 최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페이스북. 지난 5월 19일 나스닥에 상장, 사상 최대 거래량을 기록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가 나스닥 상장으로 벌어들인 돈 ... ...
- 남자를 지켜줘과학동아 l201206
- 여기저기서 한숨 소리가 들린다. 땅이 꺼져라 한숨을 내뱉는 이들은 갈수록 살기가 팍팍해진다고 투덜대는 이 시대의 남자들이다. 아, 여기엔 힘들게 살아가는 아들이 안쓰러운 엄마들도 조금 섞여 있을지 모르겠다.과거의 남성적인 문화는 이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추세다. 이상적인 남성상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06
-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은 입자의 질량은 ‘0’이어서 전자기력을 무한한 거리까지 전하기도 한다.그런데 물리학자들이 요즘 이상한 광자를 찾기 위해 나섰다. 질량도 있고 ...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과학동아 l201206
- 작년 7월 과학동아 기획기사 ‘벌의 죽음’을 취재하기 위해 경남 함양의 한 동양꿀벌(토종꿀벌, 토봉) 농가를 찾았을 때다. 당시 2년째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바이러스 성 감염병이 유행해 전국의 동양꿀벌이 거의 다 죽은 상태였다. 30년 동안 매해 500개의 벌통을 키우던 농장주의 벌집도 전 ... ...
이전568569570571572573574575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