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지난 8월 21일, 서해교전의 비극으로 침몰한 고속정의 인양 작업이 성공리에 완수됐다. 침몰선박의 조사와 인양은 치밀한 예비작업과 첨단장비를 통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이뤄진다. 서해교전 고속정의 인양 작업을 비롯해 침몰선의 인양 절차를 살펴보자.1912년 3월 31일, 보잉747 여객기 4대를 이어놓 ... ...
쇠라의 작품과 컬러 인쇄의 공통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컬러 인쇄물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은 어떻게 구현된 것일까. 19세기 점묘법을 만들어낸 프랑스 화가, 쇠라로부터 그 답을 찾아보자.모험이와 슬기는 모처럼 미술관을 찾았다. 사실은 19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화가 쇠라와 모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라며 엄마가 재촉하셨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까마귀가 처음 보는 재료를 가공해 도구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영국 옥스퍼드대 알렉스 카셀니크 교수팀은 실험실에서 까마귀가 먹이를 낚기 위해 갈고리 모양의 도구를 만드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했다고 ‘사이언스’ 8월 9일자에 커버스토리로 발표했다.도구를 쓰는 까마귀는 남서태 ... ...
눈으로 단어를 입력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카메라가 안구의 움직임을 기록해 컴퓨터 화면에 즉시 그 움직임을 재현할 겁니다. 마르탱씨가 안구를 움직일 때마다 카메라가 그것을 감지해서 신호를 전달하면 그 신호에 따라서 화면의 포인터가 이동하는 것이지요.”최근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른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장편소설 ‘뇌’에는 ... ...
화성 탐사 최전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20세기 전후부터 시작된‘화성인’찾기는 인류의 사모곡이었다. 최근의 화성탐사는 생명체의 근원인 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빠르면 2018년 인류가 화성에 첫발을 내디딜 때를 대비한 것이기도 하다. 화성 탐사 최전선으로 가보자.우주탐사선 가운데 상당수가 붉은 행성 화성으로 향한 이유는 무 ... ...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인류가 화성으로 가는 길은 현재 알려진 시나리오대로라면 3년이 걸리는 대장정이다. 플라스마엔진을 이용하면 이 기간을 꽤나 줄일 수 있다. 기존 엔진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의 정체는 무엇일까.사람이 화성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주선의 성능이 중요하다. 화성까지 갔다가 돌아오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외국에서 개발돼 다시 들어오는데 비싼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우리 토종식물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최근 토종식물을 엄청난 부가가치를 약속하는화훼식물로 개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우리 야생화가 세계적인 명품꽃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직접 살펴보자.우리나라의 산과 들에 자생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전통 초상화를 보면 깔끔하고 백옥같은 피부의 얼굴은 의외로 없다. 주근깨나 저승꽃,또는 깊게 패인 주름살이 초상화 주인공의 인생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이에 비해 서양의 초상화는 하나같이 미남∙미녀뿐이다. 우리 초상화의 이같은 특징을 살려 선조들의 피부병을 연구하는 의학자가 있다. ... ...
예비 과학자들의 진로탐색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동아사이언스는 한국영재학회, 청주교대 과학영재교육센터와 함께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진로탐색 캠프를 개최했다. 이번 캠프는 이공계에 진학한다면 어떤 분야로 가야 할지, 내가 지닌 능력은 내가 좋아하는 분야에 과연 적합한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저는 음악을 좋아하지 ... ...
만물의 원리를 푸는 열쇠 수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얼마전 천재적인 수학자 존 내쉬의 삶을 다룬‘뷰티풀 마인드’가 큰 인기를 끌었다. 영화의 성공과 함께 존 내쉬는 수학자로서는 드물게 대중들이 기억하는 사람이 됐다. 요즘에는 교과서나 전공서적 코너가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던 수학책이 사람들의 눈에띄는 서가에 진열되는 일도 늘어나고 ... ...
이전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