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있다. 따라서 각종 레이저의 출현과 광섬유의 발달을 통하여 기존의 전자공학적 통신
방식
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광통신산업의 시장규모도 급격히 팽창될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전화국간의 광전송시스템 뿐만 아니라 ... ...
세계각국의 컴퓨터 연구「컨소시엄」 90년대에 승부를 건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늘려온 일본 특유의 '카피캣'(Copycat:도둑고양이처럼 몰래 남의 것을 훔쳐 모방한다는 뜻)
방식
이 더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왔다. 미국은 일본의 시장잠식을 막기 위해 기술특허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일본이 직면한 또 한가지 문제점은 인력수급상의 차질이다. 얼만전까지만 해도 우수인력이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한편 이온저장형 주파수발생기는 지금까지 소개한 원자시계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방식
의 원자시계이다. 즉 중성원자를 이용하지 않고 이온상태의 원자를 활용한다. 이온상태의 원자를 전장과 자장 또는 교류전장으로 일정한 공간에 붙잡아 공명실험을 하는 것이다.이 방법의 결점은 이온원자의 ... ...
뉴미디어 CATV 내년에 등장할듯 내용과 준비상황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유선TV를 시험적으로 운용할 것이라든지 현행 AFKN의 VHF채널을 흡수해 UHF 또는 유선
방식
으로 대체할 것이라는 등의 보도가 있었지만 아직 확정된 사실은 아무 것도 없다. 단지 곧바로 민간업체들의 CATV사업참여를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일단 종합유선방송을 시범적으로 운영한다는 사실만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정상적인 부분과 명암의 차이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현재까지는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
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지만 형광스크린이나 비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화면에서 볼 수 있게 하는 방법들도 점차 많이 쓰이고 있다.방사선 투과 시험방법은 X선 이외에도 투과력이 더 강한 감마선및 중성자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③ 카드의 활용을 다양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천4백bps 이하의 중속모뎀에서는 대개 공중선을 이용한다. PC통신이나 사설BBS 등에서도 이
방식
이 주류.전용선은 데이터통신을 위해 특별히 선로를 개설한 것을 말한다. 초기에 엄청난 부담이 들지만 그만큼 장점도 많다. 데이터통신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통신보안이 지켜질 뿐 아니라 통화중으로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있는 다양한 물체의 거리 방향 크기 형상 분포상태 속도 밀도 등의 정보를 원격측정하는
방식
이나 장치가 바로 레이저 레이다.작동원리는 종래의 레이저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광파장이 마이크로파에 비해 훨씬 짧기 때문에 시간폭이 짧은 펄스(pulse) 광을 얻을 수 있으므로 측정정밀도가 대폭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훨신 좋다. 파의 원종이 아시아, 특히 동남아에 많고 또 재래종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방식
으로 한국에서는 파나 쌀을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미국은 옥수수를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고 유럽에서는 밀을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렇게 각 지역의 환경조건에 알맞는 품종을 개발하여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실효모임' '발명가창의고안명수회의' 등을 개최하였다. 이들 돌격대는 당시 경제건설
방식
인 '속도전'을 모방한 것이다.이 결과 1983년말까지 총 17만8천여건에 이르는 기술혁신방안이 생산현장에 이용되었으며 1984년 공업 총생산액은 77년 기준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생산은 1백78%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포함된 문장을 인식하는 것은 엄두도 못내는 상황이다.또한 기존의 컴퓨터프로그램
방식
으로 인식이 어려운 필기체를 인간의 뇌의 구조와 기능을 흉내내는 새로운 방법론인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 모형을 통하여 한글을 인식하려는 노력이 김진형교수와 포항공대 방승량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소 ... ...
이전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