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나이팅게일은 병원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먼저 청소를 하고 병원 기록을 작성하기
시작
했어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질병 원인별 사망률이 매달 어떻게 변하는지 통계를 작성했어요. 그 결과 병원의 위생상태가 개선될수록 사망자수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그녀는 사람들이 통계를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좋네. 한 번 더 도전해 보지.”그렇게 해서 데카르트와 함께 하는 두 번째 여행이
시작
됐다. 얼마 뒤 시공간 우주선이 도착한 곳은 초고층 빌딩 사이로 엄청난 수의 플라잉카가 날아다니는 최첨단 도시였다. 데카르트는 예상치 못한 낯선 도착지에 어리둥절한 표정이었다.“날 이곳에 왜 데려온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상황에 맞는 말을 한다. 신고 있지 않으면 ‘지루하다’, 신고 걸으면 ‘좀 낫네’, 뛰기
시작
하면 ‘바람 느낌이 좋네’라고 말하는 식이다.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해 움직임을 데이터로 읽어 들이고 마치 정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려고 하는 것이다.스마트폰과 운동을 연결하는 아이디어는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사실에 분개하고 찾아낸 것일지도 몰라.블론로의 발견 이후 상황은 좀 웃기게 돌아가기
시작
했어. 영국 물리학회에서 N선을 검증하기 위해 미국의 물리학자인 로버트 우드를 보냈거든. 우드는 블론로의 실험실에서 실험장치 부품을 몰래 바꾸거나 제거하면서 블론로의 실험을 견학했어. 실험장치를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바로 체세포핵 이식 기술이다. 핵을 이식 받은 난자 중 일부는 정상적으로 분화를
시작
했지만 배아 초기 단계에서 모두 죽고 말았다. 연구팀은 5년간 반복해서 실험했지만 아직까진 성공하지 못했다. 아처 교수는 “우리의 기술이 멸종위기에 처한 수백 종의 양서류를 지키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될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별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2000년대 들어서면서 FT 유전자와 플로리겐의 관계가 드러나기
시작
했다. 사실 FT 유전자는 2003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가 식물의 물관에서 확인할 때까지 어디에서 활동하는지도 알려지지 않은 수수께끼의 유전자였다. 고토 박사의 연구를 통해 동물의 혈관에 해당하는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여기에 인류가 끼어들었다. 이 초기 인류는 사자와 경쟁하며 초식동물을 먹기
시작
했다.초식동물의 몸에 있던 사자 기생충의 애벌레도 자연히 사람에게 들어가기를 반복했다. 물론 야생동물의 기생충이 아무리 사람에게 들어간다 하더라도 곧바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표정을 짓자 “방금 본 것처럼 휴대전화 음성검색이 문맥과 대화 상황을 이해하기
시작
했습니다”고 허프만 부사장이 말했다.‘한국의 대통령 이름은?’이라는 질문에는 ‘한국 대통령 이름은 팍~근하이~(‘혜’ 발음이 어려웠으리라)’라는 대답이 나왔다.곧이어 ‘그 사람 나이가 몇 살인가?(How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비영리 자회사인 구글닷오알지(google.org)는 공중보건전문가들과 전염병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
했다.그 중 독감에 대한 검색어를 분석했다. 사람들이 ‘독감’을 검색할 때 실제로도 ‘독감’이 퍼졌을 가능성이 높은지 확인해본 것이다. 그 결과 매년 독감철마다 특정 검색어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 ... ...
엄마! 수학 잘하게 형 낳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맞춰서 모르는 것을 물어보면서 함께 공부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그룹 스터디를
시작
하고 과동이는 친구들과 진도를 맞춰나가기 위해 게으름 피우지 않고 열심히 수학 문제를 풀어야 했다. 여러 가지 책에 나오는 문제를 친구들과 공유하다 보니 공부의 양도 늘어났다. 게다가 서로 경쟁하는 ... ...
이전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