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어린이과학동아
"
볼
"(으)로 총 6,631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로를 잡아먹는 햄스터
기사
l
20160429
붙어서 스파이더맨놀이도 한대요! 햄스터도 쥐과인데 왜 도대체 왜 사랑을 받는 것일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러 가
볼
까요? 햄스터는 엽기적인 행동인 동물이므로 소수층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어요. 그리고 쥐와는 다른 귀여움이 있기에 사랑을 받는 것은 분명해요. 하지만 햄스터의 엽기적인 행동 때문에 햄스터를 버린 사람들도 있다고 ...
근데 ds에 관한건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포스팅
l
20160429
보니까 4레벨은 원래 8000ds였는데 갑자기 1300ds로 바뀌고 아무리 찾아봐도 ds에 관한 창은 없네요. ...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29
‘봄이 오면 산에 들에 진달래 피네~♬ 진달래 피는 곳에 내 마음도 피어~♪’ 이 노래를 들어 본 적이 있나요? ‘봄이 오면’이라는 가곡의 첫 소절이랍니다. 지금처럼 햇살이 따뜻한 봄이 오면 저절로 위 노래가 떠오르곤 하지요. 5월은 진달래과 꽃들이 산과 들을 알록달록하게 수놓는 시기거든요. 국립수목원에서 만나
볼
수 있는 반가운 진달래 가족을 ...
상상력으로 풀어보는 수학 퀴즈
기사
l
20160427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서죠. 그러니까 못 푼다고 좌절 하지 마세요. 절대 자신이 수학을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 계속 문제 내
볼
게요. 2번 문제 나와주세요! 자 무엇일까요? 2번 문제는 이 간단한 문제를 80%가 못 맞췄다고 합니다. 그럼 80%에 속하는 사람, 20%에 속하는 사람은 모두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에 말했듯 ...
[남도사랑탐사대] 꿀벌 160424-01 08:00 사택에서 날씨 맑음 단풍나무도 꽃이
탐사기록
l
20160424
[남도사랑탐사대] 꿀벌 160424-01 08:00 사택에서 날씨 맑음 단풍나무도 꽃이 있네요 잎과 빙글빙글 돌아내려 오는 씨앗은 보았는데... 봄에 잠깐 피니 요즘아니면
볼
수 없어요 꿀이 있는지 벌들도 찾아옵니다^^ 모과꽃과 민들레도 예쁘네요 귀화식물 탐사도 시작해봐야겠어요 ...
북방산개구리올챙이를 보았어요. 한곳에서 몰려서 무엇을 하고있을 까요? 정말 궁금하네요 그
탐사기록
l
20160423
북방산개구리올챙이를 보았어요. 한곳에서 몰려서 무엇을 하고있을 까요? 정말 궁금하네요 그리고 그 올챙이들이 북방산개구리를
볼
날을 기다리고 기다려야 겠어요 그날이 정말로 기대되요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
기사
l
20160421
이 석회암과 황토색 셰일 속에 어쩌면 그 흔적을 남겼을지도 모를 일이다. 다음에 이곳으로 실체현미경을 들고와서 직접 관찰해
볼
예정이다. 무거운 현미경을 이곳까지 운반해 줄 아빠에게 미리 감사를 드린다~^^혹시나 하는 기대감이 가설이 되고 그 가설이 사실이 되는 순간을 고대한다.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
기사
l
20160420
게 좋을 것 같다. 제2기의 상설에 따르면 병풍석이 있어야 하는데 순릉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전 세계에서 오직 조선왕릉에서만
볼
수 있는 난간석이 봉분을 애워싼 모습. 주변의 석양과 석호가 든든히 지켜주고 있다. 대체로 석호와 석양은 작은 편이다. 그만큼 섬세한 표현보다는 심플하게 조각되어 있다. 내가 좋아하는 석호는 뭔가 무뚝뚝한 표정인데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
기사
l
20160419
꽤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마치 세수를 한 듯 깨끗한 석마의 얼굴과 연꽃으로 보이는 조각이 멋있다. 석마의 얼굴 표정과 덩치로
볼
때, 기존의 석마들과는 조금 달라 보인다. 이 또한 진종의 어린 나이 탓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직박구리 한 마리가 답사 내내 따라다녔다. 30배율의 카메라를 사고 나서 새를 관찰하는 게 무척 재밌는 일상 ...
제2차 화석 발굴 여행: 포항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층 다양한 화석의 보고
기사
l
20160419
택지 개발과 도로 건설로 이암 퇴적층이 더 훼손되기 전에 하나라도 더 발굴해야겠다. 그리고 포항시장께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볼
수 있는 "포항 신생대 화석 박물관"을 만들 계획을 세웠으면 좋겠다. ...
이전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