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많은 논란이 있었다. 어떤 학자들은 피라미드의 놀랄만한 정밀함이 당시 기술로는 불
가능
하다고 하면서 수만년 전에 외계인이 지구에 문명을 일으키면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펜스 교수의 이번 결과는 이런 주장을 반박하는 중요한 증거다. 또한 파라오의 연대기를 바탕으로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07
불임부부의 고통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생식세포 단계에 적용되는 새로운 기술이 선보일
가능
성이 높다. 이런 기술들이 불임부부에 대한 축복인지, 아니면 예상치 못한 재앙인지는 아직 불명확한 상태다. 당분간 유전자혼합 아기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07
주어지는 공간이기에 왜곡된 영웅심리로 모든 페이지를 지워버린다든가 하는 만행이
가능
하다는 점이다. 부디 세계 곳곳의 위키 사이트를 탐방하고 실험해보려는 분들께서는 나의 행동이 수백 수천명의 지적 결정체에 곧바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시길 바란다.연습을 해볼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06
빛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
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방법은 소행성이 날마다 조금씩 위치를 바꾸는 점에 착안하면 된다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06
음향센서다. 청각기능을 대행하는 인공내이는 개발돼 실용화되고 있다.인공코를
가능
하게 할 바이오센서는 인공눈이나 인공귀에 비하면 초보단계에 있다. 아직까지 사람의 코와 견줄만한 인공코가 등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신 인공코의 전단계인 전자코가 한창 개발중이다. 전자코는 기존의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06
준비해 왔다.신군은 시각 장애인이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점자입력이
가능
한 장치, 박군은 지능형영상인식프로그램, i-Com을개발해 인텔ISEF에 출전했다.지난 2년간 인텔 ISEF 출전 학생을 지도한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의 배두환 교수는“작년보다 학생들의 수준이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06
짧아 수중탐사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2005년에는 수심 6천m까지 잠수해 작업이
가능
한 무인잠수정을 개발할 전망이다.주인 없는 생물자원의 보고심해생물자원의 중요성을 국내에서도 인식하고 최근 정부에서는 심해자원 탐사를 21세기 프론티어사업으로 선정해 본격적인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6
하나입니다.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음악CD의 압축방식에 비해 50배 압축이
가능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문 : 좀 전에 광통신 얘기를 잠깐 하던데, 디지털 정보는 광통신으로만 주고받을 수 있나요?답 : 아니오. 미리 2진수 정보를 어떻게 주고 받을지에 대해서만 약속이 돼있으면 여러가지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06
불투명하지도 않고 뿌연 것인데, 다른 건 안보이게 하고 망막만 조심스럽게 드러낸다면
가능
할 수도 있겠네요. ^^상준_ 투명인간이 시각을 갖추려면 망막만 투명하지 않으면 다 해결되는 겁니까?정교수_ 망막에 빛이 오면 빛이 신경섬유를 따라서 대뇌로 가거든요. 시각 담당이 뇌 뒤쪽에 있어요.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06
인터넷이라는 톨스토이적 무질서를 향해 왔다”고 진단하고 있다. 그는 과학의 스타일을
가능
한 톨스토이 스타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대의 미생물학이나 신경생물학 등의 분야에서는 톨스토이적인 창조적 혼돈이 수용되고 있는 반면, 입자물리학과 우주과학은 나폴레옹적인 완고함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