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은 소음, 나쁜소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소음은 짜증스러운 반면 유익하기도 하다. 트럭이 후진할 때 빵빵대는 소리가 그렇다.
학자
들은 부모가 내는 중얼거림이나 얼러대고 혀차는 소리 등이 유아를 안정시키고 가까이 오도록 유인함을 발견했다. 사실 모든 포유동물들은 새끼들에게 혀차는 소리를 낸다.소음은 반대진영의 간첩을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방출량을 1/7로 줄여서 보고했다. 그동안 탐욕스런 기업가와 관료적인 행정가 그리고 어용
학자
들의 3중주로 인하여 사망자 8백45명,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2천1백여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에서는 정보공개제도를 확립하기 위한 운동이 대중운동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불었다.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일정량의 약물을 계속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학자
들은 비막형 저장조와 매트릭스형을 조화시킨 마이크로실드형(microsealed type)과 속도조절막형과 매트릭스형을 결합한 포로플라스틱형(poroplastic type) 등을 개발했다. 이 두 방식은 저장조형과 거의 비슷한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8년이 흘렀다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천~5천팀에 이르는데, 로러박사는 '84년 멕시코의 칸쿤에서 STM에 관심을 가진
학자
들이 처음 모였을 때 그 수가 10명에 불과했다"고 밝히면서 격세지감을 나타냈다.아무튼 원자를 처음 발견한 영국의 존 달턴(Dalton)이 무덤에서 깜짝 놀라 깨어날 일이 STM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미래의 확실한 '신무기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飛車)우리나라에도 일찍이 날틀을 연구한 사람이 있었다. 약 1백50년 전 헌종시대 고증
학자
이규경선생이 쓴'오주연문장전산고'란 책에 '비차변증설'이란 대목이 있다. 여기서 비차란 날틀을 말하는 것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원주에 사는 정평구선생이 따오기 모양을 한 비차를 만들어 날개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용하면 우주는 갑자기 그 아름다움을 자태뿐 아니라 색깔로 나타낸다. 물론 천문
학자
들은 필름으로부터 얻은 그 천연색 영상이 과연 '현실'인지 잘 몰라 저 멀리로 직접 방문해 자신들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왜 그 많은 성운들이 모두 꼭같이 어두운 붉은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2m 이상이든 간에 그것이 유전적인 것이라면 질병과는 하등 관계가 없다는 뜻이다.또
학자
들은 키가 작다고 해서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나폴레옹 처칠 넬슨 오나시스 피카소 아리스토텔레스 발자크 유리 가가린 볼테르 키츠 몽테뉴 하이네 플라톤 아르키메데스 디오게네스 키신저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황토고원 외에도 만주 송화강유역, 산동반도, 화북평야 등에 황토지대가 필쳐져 있다.
학자
들에 의해 뢰스로 확인됐거나 그와 유사한 황토층들이 곳곳에 쌓여있는 것이다. 세계 최대의 풍적토지대황토고원의 뢰스들을 세분하면 니토(泥土, silt, 직경 0.05~0.002mm인 입자)가 75~90%로 대부분을 점유한다.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아니라 그래픽은 실험수학이라는 다소 생소한 분야로 우리를 인도한다. 생물
학자
나 화
학자
가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분자모형의 형성이나 유전자의 배열모형을 그려주는 것은 이제 필수적인 연구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수학에서도 4차원 물체의 3차원 투시도를 나타내기 위해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