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무엇일까.첫째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생물계의 벽을 허물었다. 자연상태에서는 식물이든
동물
이든 같은 종끼리만 교배가 가능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곤충인 반딧불의 형광유전자를 찾아내어 이를 박테리아의 DNA에 끼운 후 다시 식물세포에 집어넣어 담배가 형광을 발하게 한다. 옥수수 ... ...
(2) 사운드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운드 블러스터라이브러리가 풍부애드립카드와 완벽하게 호환되며 말이나 효과음,
동물
의 소리 등으로부터 샘플링된 음을 출력한다. 다른 음악카드와 비교해서 가장 큰 차이점은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보드내에 여러개의 카드가 들어있기 때문에 동시 사용이 쉽다. 즉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집(그림)이 만들어진다. 머리쪽에서 밀려 들어오는 모래를 먹는데 함께 들어오는 작은
동물
도 부수적으로 얻게 된다. 때때로 몸을 후진하여 항문을 올려 불소화 물과 모래를 굴 가장자리에 배출한다.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돼 들어가면서 일정량의 ... ...
공룡시대 대탐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동안 「공룡시대」라는 부를 정도로 지구를 지배한 공룡들은 인간의 상상을 훨씬 뛰어넘는
동물
이었다. 지금까지 공룡만큼 번성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지구에 군림했던 생물군은 없었다.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에 이미 지구에서 사라져 버린 공룡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얼마만큼인가 ... ...
(1) 공룡은 어떤
동물
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억8천만년 동안 지속된 중생대에는 바다에서 암몬조개류가, 그리고 육지에서 파충류가 번식했는데, 공룡은 바로 파충류에 속한다.지금으로부터 약 50억년 전 ... 활동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공룡이 온혈
동물
이라면 파충류에서 제외돼야 하며 새로운
동물
분류 위치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멸종한다는 사실을 확연히 보여 줌으로써 진화의 법칙을 실증한 셈이다.한때 번성했던
동물
군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 사실은 생물과 자연의 조화가 얼마나 오묘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우리가 그들의 멸종에서 배울 큰 교훈이 있다. 즉 우리의 환경이 잘 보전되지 않고 공해와 전쟁으로 혹은 자원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위해 기상천외의 방법을 동원해 집을 짓는데…지구상에 살고 있는 약 1백 50만 종의
동물
군중 곤충류가 3/4을 차지하고 있지만 스스로 집을 짓고 사는 곤충은 그리 많지 않다.어미벌레의 대부분은 알을 아무데나 낳고는 돌보지 않는 비정한 면이 있다. 아무데나 알을 낳아 놓은 방치된 집 없는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활용도가 높은 소프트웨어모음집) △ 국립지리학회에서 만든 포유
동물
복합미디어사전(
동물
음성 TV다큐먼터리 비디오 수록) 등이 있다.이외에 타임워너사가 49달러짜리 셰익스피어작품 모음집과 9천만명의 인명 주소 전화번호를 모아 수록한 CD롬 타이틀을 선보였으며, 컴퓨터라이브러리사는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 온혈이 아니고는 지속적으로 민첩하게 움질일 수 없고 또 떼를 지어서 다니는 고등
동물
치고 온혈 아닌 것이 없다고 오스트롬 교수는 말한다."공룡은 사라졌을 뿐 죽지 않았고, 새가 되어 공중을 날고 있다.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부산물인 각종 바이오센서의 개발은 괄목할 만하다. 효소센서 미생물센서 면역센서 및
동물
세포센서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당뇨병환자의 혈당치를 측정하는 글루코스센서, 인공신장의 요석물을 제어하는 요소센서 등은 이미 실용단계에 있다.뇌세포와 바이오컴퓨터, 이를 실현하기 위한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