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가득한 블루 리버파크까지. 탐사원들은 쉴 새 없이 생물들을 찾아다녔어요. 그동안
만
났던 동물과 식물들은 아마 평생 잊지 못할 친구가 될 것 같아요. 이들과 오랫동안 함께 살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지구와 생명. 그리고 공존이라는 단어를 머리에 새긴 채 탐사원들은 내년을 ... ...
고슴도치 vs 호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가시털로 덮여 있는 데다 덩치도 비슷해서 고슴도치로 오해했나 보구나. 하지
만
자세히 보면 고슴도치와 다르게 생겼어. 고슴도치보다 주둥이도 뾰족하고, 이빨도 없지. 그리고 가장 큰 차이! 나는 알을 낳는 ‘난공류’란다 ... ...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궁금해, 큐리오시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한 채 큐리오시티를 닮은 로버가 놓여 있네요.이곳은 화성 표면과 비슷한 상황을
만
들어 놓고 로버를 움직이며 시험하는 곳이었군요.큐리오시티와 통하는 곳무엇보다도 흥미로운 곳에 도착했습니다. 이곳은 착륙과 탐사 과정에서 큐리오시티와 정보를 주고받는 ‘미션 통제 센터’랍니다. 인류가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문화재가 많이 묻혀있는 역사도시를 재개발할 때, 어떻게 문화재를 보존할지 참고할
만
한 사례라고 할 수 있어요. 조선시대 시전 상인들이 왁자지껄 떠들며 물건을 주고받는 모습을 떠올려보세요.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자유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는 것도 재밌겠죠? 문화재는 과거로 ...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플래시를 보면 시력이 나빠지고 실명할 수도 있답니다. 신비로운 해양 생물들을
만
날 수 있는 아쿠아리움은 정말 작은 행성인 것 같아.맞아~. 지구의 바다를 한 곳에 담아 놓은 것 같아. 그리고 보니 표면의 70%가 바다로 덮인 지구가 바로 물의 행성이구나! 이번 ‘어린이과학동아’ 취재 임무는 ... ...
나비가 너울너울 ,2012 예천 곤충바이오엑스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곤충에 대해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 준답니다.➋ 나비와 장수하늘소, 사슴벌레 등으로
만
든 재미난 문양들이에요. 곤충이 이렇게 아름답다니 신기하죠?➌ 몬드리안의 작품을 응용한 나비디지털병풍이에요. 형형색색 화려한 나비들이 모두 진짜랍니다.➍ 벌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은 어떻게 보일까요? ... ...
웬록과 맨드빌의 과학으로 따는 금메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중요한 조건은 인내와 노력!과학으로 보니 올림픽 경기가 더욱 흥미진진한걸? 하지
만
중요한 게 빠졌어. 바로 올림픽을 준비하며 선수들이 흘린 땀이지. 지난 4년 간 국가대표 선수들이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흘린 땀에 과학적인 훈련과 첨단 장비 등이 더해져 최고의 성적을 거둘 수 있는 거야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살충 효과가 커요. 플라스틱 통에 들어 있는 건 은행잎을갈아서 가루로
만
든 뒤 압축해
만
든 알약이에요. 정화조에 몇 알 넣어놓으면 모기가 거의 전멸한다고 하네요 ... ...
게임시간? 엄마와 정해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떨어질 수 있어요.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기 때문에 살이 찌고 몸이 약해진답니다. 몸
만
변하는 게 아니에요. 술이나 마약을 끊지 못하는 것처럼 게임에도 중독될 수 있어요.게임 속 세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잔인한 게임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다른 친구들보다 더 폭력적으로 ... ...
우리나라에 살았던 네 발 초식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8500
만
년~ 9500
만
년 전 우리나라 남해안에도 네 발로 걷는 초식공룡이 살았대요. 1999년 경남 고성군 두호리에서 발견한 4족 보행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았어요. 이 공룡의 이름은 카르이르이크늄 경수키미예요. 남해안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을 연구하는 진주교육대 김경수 교수의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