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용해 지구질량의 5.5배인 외계행성을 발견한 논문이 실렸다. 이 행성은 지구에서
약
2만 1500광년 떨어진, 태양 질량의 22%인 적색왜성을 2.6AU(천문단위, 1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 떨어져 돌고 있다. 한 교수팀도 같은 해 지구질량의 13배인, 당시 3번째로 작은 외계행성을 발견해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다. 후각 상피세포가 있는 비강 윗부분과 후각을 인지하는 뇌의 변연계 사이의 거리는
약
2cm밖에 되지 않아 어느 자극보다 빠르게 뇌에 전달된다.사람이 냄새를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냄새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학물질은 후각 상피세포 끝에 있는 섬모에 있는 후각 수용체에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산방산이 됐다. 설문대할망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는 제주도는 한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약
120만 년 전 바닷속에서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생성됐다.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급격히 솟아 있는데, 해안가로 갈수록 능선이 완만해진다. 전문가들은 처음에 제주도가 생길 때 점성(차지고 끈끈한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생생한 영상을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모은다.바위를 폭
약
으로 깨는 순간 사방으로 튀는 돌멩이도 거뜬히 촬영할 수 있을 거라는 얘기다.정지 영상으로 이 카메라의 기능을 전환하면 초당 3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체 촬영 때 아무도 눈을 감지 않은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한 흥분성 세포 독성을 막는 릴루졸(Riluzole)이라는
약
제가 개발돼 쓰이고 있지만 이
약
제는 환자의 호흡근이 마비되기까지의 기간을 2~3개월 정도 연장시키는 수준에 그친다. 현재까지 수많은 치료법이 루게릭병 환자에게 쓰였으나 안타깝게도 결과는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현재 진행 중인 치료법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드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m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그 중뉴클레오티드
약
22개에 해당하는 염기서열과 결합할 수 있는 마이크로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하면 된다. 인공 마이크로RNA을 만들려면 원래세포 안에 존재하는 마이크로RNA의 염기서열대로 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해야 할까.“인공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즉 3자이므로
약
90.909cm이다. 또 거재두량에서의 두는 1말이고 1말은 100홉인 1만 8039c㎥로
약
18L가 된다.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던 수학은 오늘날 우리에게 흥미로운 문화일 뿐만 아니라 당시의 과학기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⑥ 슬라이드글라스를 전후좌우로 천천히 기울여 혈구의 응집반응을 촉진시킨다. ⑦
약
3분 정도 경과한 후 응집 여부를 관찰하고 혈액형을 판단한다. 응집 여부가 의심될 때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판단한다.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록 자산어보의 분류 체계가 객관적이지 못하고 초보적일지라도 그 분류법에서 정
약
전의 애민사상을 읽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한 건 아닐까. 자산어보는 귀납적 연구방법과 현대적 생물분류학에 버금가는 분류 체계, 애민사상이 결합해 창조된 어류보고서이다. 이 책은 단지 생물학적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안전띠 폭의 국제규격은 4.6cm 이상이다. 국산차에 달려 있는 대부분의 안전띠는 폭이
약
4.7cm다. 안전띠의 넓이가 이보다 좁으면 몸이 받는 압력이 커져 위험할 수 있다. 그래서 안전띠가 꼬인 채로 착용하는 것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안전띠의 역사 안전띠는 1800년대 후반 영국의 항공기술자인 조지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