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의해 피폐화되며 수도권 전지역의 상수도취수가 불가능해지고 경춘선 중앙선 등 철도
일부
와 14개 노선의 국도, 39개 교량이 치명적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게 정부 당국의 분석이다.예를 들어 금강산댐에서 9억t을 저수했을 때 초당 33만t씩을 방류할 수 있어 지난 84년9월의 홍수때보다 10배, ... ...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제5세대 컴퓨터 개발사업에서 중반기에 들어 선 일본은 지난해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의
일부
를 실용화에 옮기기 시작했으며 이 사업에 참여한 '미쓰비시' 전기사는 추론식 능력을 가진PIS장치를 상품화하여 전문가 시스템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각광받는 신소재 '다이아몬드 ... ...
컴퓨터 경비 시스템 시공을 초월한 전자 전쟁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대단한 활약상일 것이다.캐비넷 만큼이나 큰 컴퓨터가 손톱 크기 만큼 작아졌을때
일부
에서는 책상 위에 있는 컴퓨터가 떨어져 지나가는 사람의 발밑에서 부서지면 어쩌냐하는 질문을 많이 했다. 이때 기술자들은 다음과 같이 멋있는 대답을 하였다. "책상 위에 수북히 컴퓨터가 수백 내지 수천개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것이다. 관측되는 것은 이런 스펙트럼의 집합체다.그 유리에 레이저빛을 쬐면 스펙트럼
일부
가 빠져서 마치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PHB현상이다.구멍이 뚫린 장소는 레이저빛의 파장에 해당하는 곳이다. 레이저빛의 에너지와 같은 에너지를 갖는 분자가 자극받아 화학변화를 하므로 ... ...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세포가 이것을 떠맡게 된다. 생식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는 것은 포유동물, 파리 및
일부
식물에 행해지고 있다. 초기 배(胚)에 유전자를 떠맡은 바이러스를 벡터로 하여 도입한다.생식세포계에 유전자를 도입하는 데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몇가지 있다. 외래 DNA를 희망하는 염색체의 ... ...
PART1 내일의 TV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아니라 이미 개발이 실현돼 멀지 않아 우리가 이용하게 될 ‘내일의 TV’이다. 이미
일부
시판이 시작된 이들 첨단의 미래형 TV들은 단순히 외형적인 형태만 달라진 것이 아니다. 선명한 화면, 입체화면 등 질적으로도 재래식 TV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뿐만 아니라 미래의 ... ...
과학기술 특별회계 필요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고정률 배정원칙은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정부투자기관으로 하여금 매출액의
일부
를 관련부문 과학기술연구개발에 투자유인토록 제도화하고, 민간기업의 과학기술투자확대를 적극 유도하여 현재의 매출액대비 0.7%수준에서 선진국수준인 3%이상으로 확대시켜 나가야할 것이다.과학기술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열이 발산 됩니다. 지구도 마찬가지입니다. 과도한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마그마의
일부
가 바다 밑으로 올라오는데 가장 가까운 해구쪽으로 올리면서 거대한 층을 형성합니다. 해구밑에 흐르면서 형성된 이 마그마는 서서히 수평으로 열을 식히게 됩니다. 그러다 몇백만년이 지나 마그마의 무게가 ... ...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 안드레이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구실로 수천명의 정상급 과학자들을 수용소로 보냈다. 소련에서 가장 우수한
일부
물리학자 들은 ‘이상주의자’나 또는 ‘적의 아이디어밀수입자’라는 낙인이 찍혀 투옥되었는데 그중에는 뒷날 노벨상을 받은 ‘레프 란다우’를 비롯하여 소련 비행기설계의 ‘아버지’인 튜포레트 그리고 훗날 ... ...
조기교육, 이래서 중요 3~11살 사이에 두뇌발육 절정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환경과 전혀 관계없이 뇌세포와 그 연결부분이 고장날 수도 있다. 학자들은 이것을 “
일부
시냅스의 과도한 도태, 또는 과소도태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주 정상적으로 자라난 어린이가 사춘기에 정신분열을 일으키는 경우도 적잖은데 이는 바로 예측할 수 없는 이런 ‘과도 또는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