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205건 검색되었습니다.
美CDC, 치료약 없는 슈퍼버그 칸디다 아우리스 확산 경고…원인은 '기후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과, 이전 신약 개발 성공 사례들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7개 제약사 중 사노피와 GSK가 이를 대비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봤다. 이 두 개 제약사가 이미 주요 열대성 전염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법을 알고 있고, 전 세계에 제공할 만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 ...
[이정아의 미래병원]'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달라질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미국 뉴욕대와 로드아일랜드대 등 수많은 학교에서 이미 죽음학 과목을 개설하고 연구
결과
를 교육하고 있으며, 캐나다 웨스턴대는 학부에 죽음학과를 개설해 환자와 그 가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죽음학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일본 오사카대에서는 고령사회에 맞게 노년층이 노화와 사망을 ... ...
고기 덜 먹으면 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섭취할 경우 2050년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지금보다 50~90% 증가할 전망이라는 연구
결과
를 발표했다. 또 표준 식물성 식단에 따라 붉은 고기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 섭취량을 늘리면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29%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은 바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 바지 입고 힘 덜 들이고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걷기와 달리기를 동시에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 ‘엑소슈트’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
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제1저자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 박사과정생은 지난 2017년 이기욱 교수(당시 미국 하버드대 박사후연구원)와 함께 바지처럼 입고 달리는 로봇을 개발했다. 연구를 진척시킨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온 초전도 현상 비밀 쥔 '자성 폴라론'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7
들어가면 스핀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면서 자성 폴라론이 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
를 토대로 고온 초전도 현상을 밝히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초전도는 물질을 절대온도 0도(0K, -273.15도) 가까이 극저온 상태로 냉각시켰을 때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이다. 대개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5 좌위의 아데닌이 티민으로 바뀌었다. 염기 하나가 바뀌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그
결과
는 엄청났다. 원래 적혈구는 도넛 모양인데, 낫처럼 생긴 이상한 적혈구가 되었다. 당연히 제대로 기능을 할 리가 없다. 수명도 짧아지고 쉽게 부서진다. 이를 겸상 적혈구성 빈혈이라고 부른다. 겸상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또한 이 개체가 낳은 수컷 역시 뉴클레이스 유전자를 물려받아 암컷을 낳지 못한다. 그
결과
집단 내 암컷이 점점 줄어든다. 2. 암컷 모기의 생식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망가뜨려 번식을 못하게 한다. 이는 암컷의 특정 염색체 한 쌍이 모두 망가졌을 경우에만 발동한다. 수컷이나 염색체 한 ... ...
알츠하이머 치매 PET로 조기 판별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글루타메이트의 변화가 일어났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
를 통해 글루타메이트를 알츠하이머 치매를 조기 진단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며 "글루타메이트 양이 변하는 이유를 신경염증으로 보고 있어 후속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 ...
내성 결핵균 잡을 새 치료법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것이다. 임상시험
결과
107명 중 95명이 완치해 치료율이 89%에 이르렀다. 임상시험
결과
소아청소년 다제내성 결핵균 환자를 대상으로도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FDA는 베다퀼린을 소아청소년에게 쓸 수 있도록 확대 승인했으며, 올 연말에는 프리토매니드가 FDA 승인을 거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사이언스지 제공 얼마전 과학계 내부의 경제적 계급을 잘 나타내는 연구
결과
가 발표되었다. 2016년 네이처지는 “실험실의 불평등: 현미경 아래의 계급”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과학계 내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극화 현상을 생생하게 다뤘다. 한국사회에서 금수저 흙수저라는 말이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