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탄소나노튜브가 2차 트랜스듀서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예
를 들어 탄저균의 특정 DNA에 상보적인 DNA가닥을 붙인 탄소나노튜브는 탄저균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아니라 다른 단백질의 합성이 억제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예
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 하지만 현재 전문가들은 RNA 간섭 현상은 특이성이 높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치료제로 사용될 siRNA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을 단풍구경에 나선 모험이와 슬기. 울긋불긋 물든 단풍나무들을 따라 가을 산의 정취에 흠뻑 빠져 걷다 보니 어느새 등산로를 벗어나 깊은 산속에 다다른 것이 아닌가.슬기 ... 컵이 너무 얇아서 조각이 잘 말리지 않을 때는 약간 두꺼운 페트병을 잘라 실험하면 더욱
예
쁘게 말린다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가령 공연장 규모나 공연 내용에 따라 설계자는 그에 맞는 잔향시간을 설정한다.
예
를 들어 공연장 체적이 약1만m3에 좌석이 1천석인 경우 서양음악 기준에서 잔향시간 범위는 1.3-2.1초 사이다. 또 연극의 경우 1.2초, 영화 음향은 1.1초, 연사의 강연 소리는 1.0 초에 기준을 맞춘다.사실 이런 기준은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속적인 충분한 신체활동만이 무리없이 장기적인 건강을 보장해준다는 것을. 간단한
예
로 운동에 제약을 받는 노인들이 텃밭을 가꾸거나 뒷산을 산책하는 등 활동적인 움직임을 계속하면서 건강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모습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그런데 왜 많은 사람들이 운동에 그토록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
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일년 열두달이 한가위만 같으면 좋겠다. 하지만 한가위에 골치 아픈 곳이 있다. 바로 고속도로. 올해도 추석 연휴 동안 차 ... 개발된 새로운 교통흐름 모델이 우리나라의 복잡한 도로 상황을 족집게처럼 속시원히
예
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한몫 할 수 있지 않을까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공계를 기피하는 일이 안타깝기만 하다. 고생을 많이 했지만 충분한 부와 명
예
를 얻은 자신의 길을 들려주고 싶어 한다. 과학의 길이 당장은 험난해도 미래에는 다른 어떤 분야를 택한 것보다 값진 열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진 장관은 청소년을 한 마디로 표현해달라는 질문에 ‘가공하지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즉 피부는 어디를 찔러도 다 아프지만 장기 중에는 통각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있다.
예
를 들면 허파, 간, 콩팥 같은 장기에는 통각신경이 없다. 따라서 암이 생겨도 아프지 않으므로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내장통은 아픈 곳을 정확히 짚을 수 없다는 특징도 있다. 피부가 핀에 찔렸을 때는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닮을 필요는 없다. 두 다리로 걷든 네 다리로 걷든 똑똑하고 일만 잘하면 그만이다.
예
를 들어 KAIST 양현승 교수팀이 개발해 유명해진 ‘아미’ 는 얼굴은 사람과 닮았고 팔도 있지만 바퀴로 움직인다. 몸통도 ‘로봇처럼’ 생겼다. 그러나 뛰어난 인공지능으로 사람들을 즐겁게 한다. 산업 현장의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리보솜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와 미
예
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하다.연구실을 이끄는 이지오 교수는 “약 자체의 구조는알지만 약이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