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또 대륙간 통신케이블이 고장 나서 통신장애가 일어날 수도 있다. 실제로 1989년 3월
큰
지자기폭풍 때문에 캐나다 퀘백주 전역의 송전 시설에 문제가 생겨서 약 600만명 주민이 9시간 동안 전력 공급을 받지 못했다. 태양 폭발이 일어나고 나서 송전 시설이 마비되기까지 단 90초 밖에 걸리지 않아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배출돼야 한다. 만약 짧은 시간이라도 산소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에너지 생성대사에
큰
타격이 가해져서 우리 몸 전체의 생명유지를 위협한다. 세포는 포도당이나 그 외의 영양소를 직접 태우지는 않지만 단계적으로 분해해 에너지를 생성한다. 세포호흡은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활용이라는 관점으로 바라보면 건강한 아이보다는 허약한 아이에게 자원을 투자해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같은 자원으로 생존률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보통 엄마가 얼마나 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자원이 부족한 엄마는 허약한 아이에게 투자를 덜 하는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가파스칼)의 정밀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 35GPa은 지구 대기압의 약 32만 배에 해당하는
큰
압력이다. 만약 이 이하의 압력을 가하면 풀러렌은 찌그러졌다가도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상태(풀러렌)로 돌아온다. 또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더 커지면 풀러렌은 단순히 찌그러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큰
섬이 됐다. 물론 그 이후 신생대에 많은 화산활동이 벌어졌다. 마다가스카르 말로 ‘
큰
섬’이라는 뜻의 ‘누시베’는 화산섬으로, 11개의 칼데라 호가 있다. 또 마다가스카르 남부 지역에 위치한 이살루국립공원은 남북 400km에 이르는 거대한 평원 위에 솟아난 암석지대다. 평원은 해발 1000m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가장 정확하지만, 여러 표준기관에서는 더 정확한 시계를 개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더
큰
문제는 멀리 떨어져 있는 광시계를 서로 비교하는 기술이 아직 없다는 것이다. 떨어져 있는 두 시계의 시간을 비교할 때는 보통 인공위성을 사용하는데, 아직 정확도가 광시계보다 낮다.시계의 거리가 ... ...
나의 NASA 입성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곳에서 직접 보았다. 사람들은 각기
큰
톱니, 작은 톱니, 윤활유 등의 역할을 하며
큰
일을 이루어 갔다. 각각의 연구자들을 보면 나보다 그리 뛰어난 것 같지도 않은데 그들이 함께 일을 할 때 놀라운 일들을 이룩해 갔다. 모든 연구원은 정직을 최선의 가치로 여기고 느릴지언정 틀림없이 일했고, ... ...
“전기자동차의 힘은 기계에서 나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건가요?”주 교수는 다시 기자의 휴대전화를 들었다. “아이폰의 알루미늄 껍데기는
큰
덩어리를 미세하게 잘라내고 가공해 만들죠. 이것이 정밀가공인데 우리 연구실이 하는 것도 비슷한 일을 합니다.”5~6년 전 주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전해미세가공’이라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 ...
[9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인해 시험 공부는 시험 12시간 전에 해두는 것이 효과적이고 시험 직전에 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내용을 메인 제목이나 앞부분에 끌어냈다면 독자들의 관심을 더 끌 수 있는 기사가 됐을 것이다. 이 기사를 접한 중고생 독자들이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데 앞으로 호르몬을 활용해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국제수학자대회까지 3년 연속으로 우리나라에서 수학 축제가 열릴 예정입니다. 세계적인
큰
행사를 연이어 개최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지요. 이것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수학교육을 세계에 알리고, 더불어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좋아하고 즐기기를 바랍니다."한국교원대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