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443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르스 업데이트]“메르스는 병원 내 감염, 대유행 가능성 낮아”
2015.06.22
병행한다면 메르스를 통제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메르스의 전염
형태
가 사스나 신종플루 같은 호흡기 질환이 아닌, 병원내에서 주로 감염되는 일명 ‘슈퍼박테리아’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메르스를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비교하며 “주로 병원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 특별한 시스템도 확인됐다. 박쥐가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기르는
형태
로 진화하면서 바이러스가 침투하더라도 인간처럼 감염되는 게 아니라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숙주가 된 것이다. 박쥐의 비행 능력도 바이러스와의 공존을 돕는 비결로 꼽힌다.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 ...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하나
2015.06.19
심한 원자로는 오염 정도가 자연적으로 감소할 때까지 기다리는 지연해체 방식이 절충된
형태
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연구부장은 “원자로는 원격조종 크레인과 로봇 팔 등을 이용해 사람 대신 로봇이 해체할 수 있다”면서 “잘라 낸 조각은 로봇 팔로 드럼에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
2015.06.17
형태
로 만든 스마트 센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가느다란 실
형태
의 섬유를 센서로 만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개발했다. 앞으로 냄새 맡는 센서를 옷 속에 내장하는 ‘스마트 의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형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
2015.06.16
이용해서 반금속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2차원 평면
형태
의 그래핀을 리본 모양으로 잘라낸 것을 말한다. 연구진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계산한 결과 두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 나노리본의 ... ...
‘메르스 낙관’ 모두 빗나갔다
동아일보
l
2015.06.16
‘2m 이내 밀접 접촉’이 없었는데도 감염됐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연무질(에어로졸)
형태
로도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보건당국이 최대 14일이라고 예상했던 잠복기도 실제로는 더 길다는 지적이 많다. 메르스 확진자 150명 중 146번 환자와 149번 환자의 경우 16∼18일 만에 발병된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빠른 사고, 정신적 유쾌함, 고조된 기분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며 “조증이 가벼운
형태
일 때는 창의성과 일의 성과면에서 다른 사람보다 이익을 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예술가들의 친인척을 조사한 결과 이들에게서도 정신질환의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정신질환은 유전적 요인이 ... ...
[메르스 업데이트]“한국 메르스 사망률 10%로 기존 사망률보다 낮아”
2015.06.15
나타났으며 2m 이상 멀리 떨어진 환자도 바이러스에 전염되는 등 알려진 바와 다른 전파
형태
를 보이고 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는 바이러스에서 특이한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현재 한국 정부의 대응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매일 메르스 감염자와 격리자, 사망자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뇌수막염도 1년 만에 1210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세포
형태
의 생명체로 스스로 세포 분열을 하면서 생존한다. 반면 바이러스는 유전정보와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어 번식을 위해서는 숙주의 세포에 침투해야 한다. 번식 조건만 비교하면 바이러스에 비해 세균이 더 ...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밖 감염’ 왜 발생했나
동아일보
l
2015.06.12
남짓으로 먼 거리다. 이 때문에 응급실 14번 환자에게서 나온 바이러스가 1층 전체에 공기
형태
로 퍼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이러한 삼성서울병원의 공기감염 가능성에 대해 엄중식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해당 병원은 하루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