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획 / 특집 中… 대류권과 달리 고도가 높아질
수
록 온도가 높아져. 공기가 위아래로 … (중략)… 돌고래는 바닷속에서 다양한 진동
수
의 음파를 쏘아 부딪쳐 되돌아오는 ... 암컷의 자궁에서 새끼를 길러 낳는 포유류의 일종이어서 이 같은 이름이 붙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답니다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콧 켈리는 우주에 머무르는 동안 키가 5cm 커졌다고 해요. 지구에서 중력으로 인해
수
축되어 있던 척추가 우주에서는 모두 퍼지며 키가 커진 거예요. 그렇다고 중력을 너무 미워하진 마세요. 중력이 거의 없는 우주에서는 피가 상체로 쏠려 뇌압이 높아지고 저항하는 힘이 없어 뼈와 근육이 ... ...
[
수
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
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것 때문에 마스크의
수
명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도 알아냈죠. 따라서 연구팀은 마스크
수
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착용했을 때 일어나는 구멍의 변형이 마스크 전체에 고르게 일어나도록 디자인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 ...
[특집]
수
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형태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고, 특히 중심별 없이 혼자서 우주를 떠도는 천체를 발견할
수
도 있습니다. 2019년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홀로 떠돌아 다니는 외계행성 후보 ‘OGLE-2017-BLG-0560’을 발견했답니다 ... ...
[기획] Player.
수
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분
수
를 쉽게 배우는 ‘분
수
쪼개기 놀이’#분
수
#맘모스 #얼음깨기 #분
수
계산
수
동병원 에이스인 나, 송화가 추천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지. ... 게임과 한붓그리기가 합쳐진 형태의 게임으로, 주어진 시간 안에 미션을 성공해야 하니
수
학적 감각이 저절로 키워지겠지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
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그래서 하루에도 몇 번씩 아이디어를 검증해보곤 해요. 정말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도
수
학을 공부해서 저처럼 산업 분야의 문제 풀이에 도전해보세요 ... ...
[이달의
수
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소신이라는 단어는 어떤 일을 할 때 자신이 옳다고 믿는 대로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됐던 드라마 ‘이태원 클라스’의 주인공 박새로이의 좌우명 ... 때문이죠. 스메일 교
수
의 삶을 통해 고귀한 것은 올바른 소신과 인내 끝에 탄생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않는 상대인 바이러스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 50년간 전 세계를 강타하며
수
많은 사망자를 내는 등 인류에게 치명적이었던 바이러스 7개를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00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늘어났다. 3월 11일 WHO는 마침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했다. WHO는 감염병 위험
수
준에 따라 경보 단계를 6단계로 정하고 있는데, 팬데믹은 가장 높은 6단계에 해당한다. WHO가 설립 이후 팬데믹을 선포한 건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세 번째다. WHO의 6월 14일자 코로나19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없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모기를 통해 전염될
수
없다”며 “모기를 통해 전염된 사례나 증거가 없다”고 못 박았다. 오히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호흡기 바이러스인 만큼 비누와 물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하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고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