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스페셜
"
전
"(으)로 총 6,45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연구진은 나노 조영제 외에도 다양한 바이오 마커를 이용해 뇌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신경
전
달지도(신경회로망)를 구성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호르몬이나 특정 신경 물질에서 발현되는 바이오 마커를 찾고 개발하는데도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 바이오 마커는 개인맞춤의학·예방의학이 ... ...
한 번 등돌린 사람, 다시 친해질 수 있을까
2016.01.26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게 어느 정도의 성장 가능성이 있듯이 타인에게도 발
전
의 여지가 있고 인간관계 또한 그럴 가능성, 한 번 믿어보면 어떨까?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어떻게 지카바이러스는 모기 없이도 다른 숙주에게 갈 수 있었을까. 당시 포이 교수는
전
립선염이 있었는데 아내와 성관계를 할 때 사정한 정액에 피가 섞여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정액으로 흘러들어가 아내를 감염시켰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지카바이러스는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단단하기 때문이다. 사실 필자는 ‘러브레터’를 영화관에서 본 게 아니라 수년
전
29인치 브라운관 TV로 봤다. 화면비율이 4:3이었으므로 16:9인 LCD TV로 치면 27인치 화면으로 본 셈이다. 그런데 요 며칠 ‘러브레터’가 재개봉하고 있다는 걸 우연히 알게 됐다. 4시 35분 영화로 예약을 했는데 벌써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대중들에게
전
달하는데 탁월한 능력이 있었다. 자딘의 다른 책들(특히 로버트 훅의
전
기)도 번역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불구하고 발
전
의 속도와 노력을 늦추지 않았다.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얻지 못한
전
국의 과학기술인들도 언젠가 환한 웃음으로 연구성과를 발표하게 되길 바란다. 내년에도 대한민국 파이팅이다. ... ...
일자리는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특히 정책-고객(기업) 간 매칭메이킹 지도를 만들어 시도해 볼 생각. 정책의 타깃 그룹을
전
략적으로 세분화한 다음, 어떤 특성의 고객에는 어떤 정책이 적합할지 분석하여 고객 특성에 맞는 패키지 정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두피ㆍ모발 고민 타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수 있고 지속되면 탈모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은 샴푸
전
여러 번 빗질해서 모발 안쪽에 남아있는 먼지와 피지를 제거하고 감으면 좋다. 샴푸를 할 때는 머리를 충분히 물로 적신 뒤 두피와 머리 부분에 샴푸를 묻히고 양 손가락 끝으로 마사지하듯 머리를 감는 것이 ... ...
응답하라, 옛날이여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그동안 앞만 보고 달려야 한다고 믿었지만 최근 한국사회는 개인의 희망과 행복이 예
전
같지 않은 시대로 변하고 있다. 그나마 과거는 희망으로 현실을 견딜 수 있었던 시절이기 때문이다. 미래가 보이지 않으니 사람들은 과거를 추억한다. 미래만 보자고 말하기에 사람들이 그동안 잃어버린 것들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대량멸종이 진화에 미친 영향이 큼을 보여주면서 대량멸종이 유
전
자가 나빠서라기보다는 불운의 결과일수 있다고 주장했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