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작은 정육면체로 자르면, 표면적은 192(=2×2×6×8)cm²이 된다. 이를 다시 한 모서리가 1cm인 64개의 정육면체로 자르면, 표면적은 384(=1×1×6×64)cm²가 된다.표면적이 크면 바람의 영향을 그만큼 많이 받기 때문에 공기 중에 더 오래 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인체에 유해한 대기 오염물질이 많이 붙을 수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독자기자까지도 연필꽂이를 완성했다. 어떤 독자기자는 같은 개수의 나무토막으로 지우개함까지 만들었다.튼튼한 구조의 기본은 삼각형“정다면체가 뭔지 아는 사람?”“모든 면이 합동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모서리 수가 같은 입체 도형이요!”“맞아요. 그럼 정다면체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했다. 구글은 매년 만우절마다 기가 막힌 뻥을 친다. 2010년에는 동물음성인식번역기를 개발했다는 영상을 발표했고(QR코드), 2011년에는 동작인식센서로 이메일을 보내는 기술을 만들었다고 사기 쳐 수많은 사람을 PC 앞에서 춤추게 만들었다. “그것도 구글이니까 먹혔던 겁니다.최첨단 IT기업인데다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충격적인 동영상이 퍼졌다. 20대 남녀가 서울 용산역 인근에서 발생한 깊이 3m 싱크홀에 추락하는 모습이 폐쇄회로(CC)TV에 잡힌 것이다. 수많 ... 현실은 다소 아쉽다. 지질도를 만드는 우수한 인적자원의 부족 현상이 앞으로는 개선되리라 믿는다 ... ...
- [Hot Issue]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수비와 무관한 홈런(수비수가 손쓸 수 없게 담장을 넘기는), 볼넷과 사구(투수가 볼을 네 개 던지거나 타자에 공을 맞히는), 삼진(수비의 도움 없이 투수 혼자 아웃카운트를 늘리는)만을 고려한다. 수비와 운에 의해서 결정되는 안타와 실점이 아예 빠졌다. C는 리그상수로 FIP값을 전통적인 방어율과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합니다. 작년 언론 보도를 통해 문제가 됐던 첨성대가 대표적입니다. 당시 첨성대가 8개월 만에 3cm 기울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난리가 났었지요. 하지만 국립문화재연구소에겐 이미 10년 전부터 해온 기울기 측정 자료가 있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첨성대는 기울어 있긴 했지만 진남관처럼 변형이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부른다.층류현상은 의학에도 활용된다. 건강한 정자를 찾을 때다. 입구가 두 개인 미세유체 칩의 한 쪽 입구에는 희석시킨 정액을, 다른 쪽은 깨끗한 액체를 흘려준다. 두 액체는 층류현상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다. 정액에 든 불순물과 운동성이 낮은 정자는 반드시 들어온 채널의 출구로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않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는 물론 구소련, 일본의 탐사선이 무려 6개나 핼리혜성에 접근해 꼬리의 먼지 성분 등을 측정했다. 가장 가깝게 접근한 탐사선은 600km까지 접근해 생생한 사진을 남긴 ESA의 ‘지오토’였다.76년 만에 찾아온 핼리혜성은 당시 과학자에게 놓칠 수 없었던 ... ...
- [과학뉴스] 복잡한 사회를 만든 건 신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군도(마다가스카르 섬부터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까지) 오스트로네시아 문명의 사회 96개를 종교적인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팀은 종교를 ‘유일신 숭배’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경외’로 분류했다. 그 결과 유일신을 숭배하는 현상은 정치적인 복잡성이 높아진 뒤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냈는데, 그 다음날부터 3월 내내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됐다. 급기야 서울 벚꽃은 3월 28일 개화했다. 평년보다 13일, 한 해 전보다는 무려 18일이나 빨랐다. 서울에서 3월에 벚꽃이 핀 건 1922년 기상청이 관측을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만약 겨울이 너무 따뜻해져 벚나무가 냉각량을 채우지 못하면, 아예 ... ...
이전5745755765775785795805815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