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것, 즉 동물이 즐겁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원숭이 산(山)’도 있다. 이
곳
은 환경 풍부화에 따른 행동전시를 표현한 대표적 시설이다. 원숭이들은 우두커니 앉아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마음껏 움직이며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다. 각종 놀이기구와 다양한 급이기(먹이 받임)가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어느 수준 이상이 돼 천적의 침투 네트워크가 가능할 경우는 오히려 메뚜기들이 한
곳
으로 몰려 집단을 이루는 게 생존에 더 유리하다. 연구자들은 “좁은 지역에 극단적인 밀도로 메뚜기가 모이면 포식자의 먹이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없어지는 결과를 낳는다”며 “또 무리가 어느 방향으로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않는다. 높은
곳
에 있는 물체는 낙하하는 순간에 운동에너지가 나타난다. 물체를 높은
곳
에 올린 일은 물체가 낙하하는 순간까지 계에 저장돼 있다.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 즉 위치 혹은 힘에 관한 배치 때문에 만들어지는 에너지를 위치에너지(Potential Energy, PE)라고 한다.계의 모든 부분에서 역학적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플라스틱 통에 휴지를 3~4겹 정도 깐 위에 뿌리부분을 모아 담는다.② 햇빛이 비치는
곳
에 두고 물이 마르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실험 결과버리는 뿌리부분만으로 몸 전체를 만드는 재생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물을 온 식구가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실험 시 유의할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강당에 가득 울리는 박수 소리! 그제서야 기자는 또 하나의 달인이 멀지 않은
곳
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바로 세계 최대의 과학 행사의 주인공이 된‘어린이과학동아’!“편집장님~, 이만하면 달인 취재는 성공한 거죠 ... ...
동물원의 열혈 엄마, 사육사 배경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얘기만 해도 전 더 바랄 게 없습니다.”한국 동물원 100년 역사를 이끈 서울대공원. 그
곳
에서 최고 사육사로 대접받는 이가 바라는 소박한 바람이 앞으로의 서울대공원 100년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 주목된다.배경구 사육사가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장면을 담은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현에서 서쪽 280km 해상에 낙하했다. 초기에 2단 로켓은 발사장으로부터 약 3100km 떨어진
곳
에 추락한 것으로 예측돼 예상 성능을 내지 못한 것으로 발표됐다.그러나 미 공군의 조기경보위성(DSP 위성) 자료와 레이더 자료를 정밀 분석한 결과, 은하 2호는 일시적으로 490km 우주고도까지 올랐다가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저희 연구비 규모로는 어림없었죠.”비만 덜한 아시아에서 당뇨 급증그런데 예기치 못한
곳
에서 구원의 손길이 찾아왔다. 어느 날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홈페이지를 보다가 ‘바이오 모니터링 자료’라는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발견한 것. 여기에는 미국인 가운데 무작위로 혈액 시료를 채취해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투과해 형광판에 영상을 만드는 투과전자현미경이 있다.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
에서도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자가 빛보다 파장이 짧고 전자렌즈가 전자기장을 이용해 전자이온빔을 흩어지지 않게 한 줄기로 모으는 덕분에 세포 핵 속의 미세 구조까지도 볼 수 있을 만큼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 초점거리가 긴 반사경(확대 추적 반사경)을 번개가 친
곳
을 향해 재빨리 움직여 촬영한다. 이때 16배율로 확대해 가로, 세로 40km 영역을 찍을 수 있다. 박 교수는 “MTEL로 메가번개를 포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0.0005초”라며 “이렇게 빨리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는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