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영 기술이전 세미나 열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5년 동안 3억5천만파운드가 소요되는 앨비프로그램은 AI는 물론 VLSI개발과 소프트웨어
공학
에 2~3개의 기업과 1~2개의 대학이 참여한다는것.세미나에 앞서 거행된 기자회견에서 정수창 대한상의 회장은 "우리나라 첨단기술이 미국이나 일본에 지나치게 의존돼있어 기술교류의 다변화를 위해서 이번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추구해보자.학습시스팀인 연상기억모델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도쿄대학
공학
부 계수
공학
과의 '아마리 도시카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인간의 뇌에서 행해지는 것은 연상기억이라고 생각하여 연상기억모델을 만든 사람이 1972년쯤 3명 나타났다.3명이라도 모델은 같았다. 간단히 말하면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어업학과 양식학과 해양
공학
과 등 9개 학과, 이
공학
부에 자원생물학과 식품
공학
과 등 11개 학과, 사회과학부에 수산경영과 등 3개 학과로 모두 23개 학과에 이른다.이처럼 해양·수산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련된 학과가 23개에 이르고 있는 것은 한마디로 해양개발이 종합응용과학이라는 특성이 있기 ... ...
고분자 알로이섬유 개발 "빨리 공업화 되기를 기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빨리 이루어져 세계 시장을 우리나라가 휩쓸게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서울대공대섬유
공학
과와 박사과정을 똑같이 밟아 학위를 받은위 섬유개발분야에서만 일념으로 일해온 윤한식박사(57)와 손태원박사(35)는 이렇게 간절히 염원했다 ... ...
초경량 비행기 레저·스포츠용으로 세계적 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초경량비행기란 연료 사람 짐의 무게를 제외한 비행기 자체의 무게가 115.2kg이하인 것을 말한다.초경량비행기란 어떤 것인가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창공을 날아보겠다는 꿈은 인간의 끊임없는 동경으로서 여러가지의 비화를 남기면서 추구되었다. 사람이 새처럼 깃털을 달고 언덕에서 뛰어내 ... ...
볼링 게임 관리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원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은
공학
(engineering)의 한 분야로서 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아직 자신이 생기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계속해서 인내와 용기를 갖고 공부하기를 바란다. 이번호에서는 서브루틴의 ... ...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등의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농축산물의 이용에 관한 지식과 발효
공학
축산제조학 피혁가
공학
등을 가르친다.1962년 국내최초로 설치된 낙농학과에서는 기계공업 전자공업등 기간산업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선진국의 낙농생산가공분야에 대한 과학적인 교육으로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 ...
신문구독 조사표를 작성해 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시스팀의 흐름도 작성⑤ 업무의 각 기능별 명세 설계⑥ 시스팀의 상세 설계소프트웨어
공학
간단한 업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는 각 단계별로 전문인력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업무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단계별로 필요한 전문인력이 꼭 있어야 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 ...
한국과학기술원 대덕 이전에 반대의견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중학교 이상의 자제를 둔 연구원들이 특히 이전에 곤혹스러워 한다"고 전했다.한편 재료
공학
부의 연구원인 박종만씨는 "실험장치의 이전이 쉽지 않은 문제이며 연구의 공백이 클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바로 이웃한 동부지역에서 서부지역으로 옮기는 데만도 2개월이 걸렸고 기계의 손상으로 실험에 ... ...
현대 장비 동원 두 건축가가 밝혀낸 피라밋의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비밀과 정교함을 발견해야 할 사람은 바로 우리 건축가들입니다. 한 건축물에 대한
공학
적 분석은 설계도와 정확한 세부명세서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아무리 현장에 가서 건축물을 보더라도 작업은 설계도를 봐야만 비로소 시작됩니다. 현장보다 설계도가 더 필요한 요소입니다. 필시 피라밋의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