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영겁의 세월동안 거의 환경 변화가 없었다. 인간 활동 때문에 훼손된 적이 없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환경친화적인 심해자원 채광 방법 개발을 위해 지금도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태평양의 거친 파도를 헤치며 연구하고 있다.'노틸' 은 어떤 잠수정? ‘노틸’ (Nautile)은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올해는 우선 사람들에게 센터를 많이 알릴 생각이다.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 ...
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접근이 막바지에 접어들던 6월 카시니호가 포착한 위성 피비. 표면에 크고
작은
규모의 크레이터가 많이 보인다. 피비는 태양계 밖의 혜성과 같은 물체가 태양계 형성 초창기에 유입돼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태양계 타임캡슐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예정이다.극저온 냉동 보관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수정체나 줄기세포, 효소 등
작은
세포들을 극저온 냉동보관하는 기술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조직을 냉동 보관하는 기술은 성공한 사례가 없다. 저온공학 연구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극저온 연구의 메카 저온공학 연구실의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가족들과 살고 있다고 한다. 그 결과 칭화대 캠퍼스의 상주 인원은 5만여명으로 하나의
작은
도시를 이루고 있는 셈이다. 실제 이곳에는 ‘화장터’ 를 빼고는 없는 게 없다는 우스개 소리도 있다.1957년 리정다오(李政道)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양전닝(楊振寧)은 아버지가 칭화대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루는 얼음과 알갱이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구성 입자의 크기는 가루처럼
작은
것부터 낟알만하게 큰 것까지 다양했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토성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카시니호의 고리 영상은 토성 고리를 이루는 입자가 대부분 얼음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참조기는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이상 증세를 보이고 있다. 예전에 비해
작은
몸집의 참조기가 알을 배는 현상이 나타난 것. 참조기가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인 셈이다.무차별 어획에 해수 온도 상승으로 설상가상도대체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가장 큰 이유는 어민들의 약탈형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멀리 떨어져 있는 말초신경 돌기가 잘려 손상되면 잘린 부분 이하의 신경돌기가
작은
타원체 조각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주변에 있는 말초혈관에서 나온 대식세포가 신경돌기 조각을 잡아먹어 제거한다. 수시간이 지나면 손상된 신경세포 끝부분에서 다시 돌기가 뻗어 나오면서 신경이 재생된다.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다는 비선형성이 기후의 본질적인 특성이라는 말이다. 그러기에 우리 지구의 기후는
작은
변화에 의해 엄청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어느 순간 기후는 완전 뒤바뀔 수 있는 것이다.우리 인간은 그동안 민감한 지구 기후의 심기를 얼마나 건드려온 것일까? 지구의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작은
구멍으로 물이 들어간 이유는?상온에서 탁구공 표면의 지름이 1mm가 채 되지 않는
작은
구멍으로 물을 넣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탁구공 속에 공기가 가득 차 있어 물이 들어갈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탁구공 속의 공기를 먼저 빼는 것이 이 실험의 핵심이다.여기서 압력이 일정할 때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