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감지할 수 있는 폐쇄용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즉각 대처하는 능력을 갖췄다.
주변
온도가 72℃ 이상되면 발화지점을 향해 자동발사되는 것. 아울러 가스통에 충전된 가스가 다 사용되거나 누출돼 가스의 압력이 떨어지면 자동으로 부저가 울리게 돼 있다. 이 부저소리가 나면 재충전해줘야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머리 위에 높이 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페가수스만이 가을밤의 길잡이로 남아 그
주변
에 흩어져 있는 가을의 희미한 별자리들을 안내하고 있다. 외로운 가을정서, 포말하우트이달에는 가을의 남쪽하늘에 위치하는 남쪽물고기자리와 고래자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가을의 남쪽 하늘은 일명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은하계엔 NGC3115를 연구했다. 그 결과 이 은하계의 핵은 빨리 공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의 별들을(보다 가속화되는 속도로) 빨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현재까지 발견된 블랙홀중에서 가장 큰 것인지 모르며 깜깜한 동반자 별 하나와 간단한 탱고춤을 추는 다른 ...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가 1976년 발족되어 아랍새트 위성을 운용중이며 팔라파(PALAPA) 위성 시스템이 인도네시아
주변
섬 사이의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미국은 1974년 웨스타(Westar)1호를 발사하여 미국내 위성통신을 상용화하기 시작하여 1991년 1월 현재 34기의 위성을 운용 하고 있다. 미국의 CATV 서비스는 전용위성인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한류는 사막지대의 강우량을 제한하는 역할 뿐 아니라 안개를 생성시켜 나미브 사막
주변
해안지대를 세계에서 가장 생명력이 왕성한 곳 중의 하나로 만들고 있으며 사막 안의 생물의 진화와 발전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건조한 사막이지만 안개가 사막의 깊숙한 곳까지 동식물의 생존에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소규모로 발달되어 있다. 일부 해안에서는 평탄한 해안지형과 만입이 형성되어
주변
의 기생화산과 더불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뽐내고 있다.카나리아군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지형인 제주도와 울릉도 등 두 화산섬의 특징들이 복합된 듯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세계의 화산대라고 하면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핵심인 지식을 표현하고 처리하는데 기존의 수학문제를 푸는 것과 같은 연역적 방법에서
주변
상황으로부터 경험을 직접 반영하는 귀납적 방법을 택하는 시도가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공지능의 구체적인 분야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 전문가 시스템지식표현이 쟁점인공지능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루어져 유용한 것들을 궤도상에 남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다.우리가 우리
주변
과 머리 위에 쓰레기가 쌓임을 걱정하는 동안 아름다운 동굴의 벽화나 흥미롭게 서 있는 돌을 발견하는 그 이상의 과학인 고고학을 상기시켜 보라. 고고학의 많은 부분은 오래 묵은 쓰레기를 뒤지는 것이고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등을 보면서 왜 그 식물들이 그 자리에 모여 사는가를 음미해 보았지요. 산의 높이,
주변
환경, 바람의 강도, 받을 수 있는 태양광선의 양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식물들도 자신들이 살아나가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를 선택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지리산의 생태를 좀더 자세히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쉬기로 한 8월2일 날씨가 너무 좋아 울화가 치밀었다는 내용도 관측일지에 적었다. 호수
주변
이라 습기가 많음을 피부로 느꼈으며 마지막날 관측을 마치고 내려 오다 한사람이 발목을 다치는 불상사가 일어 나기도 했다.대구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경북대 제2과학관 옥상에서는 이 학교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