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첩보위성로케트 「타이탄34D」까지폭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주었다. 이밖에도 5천 7백 50만달라짜리 기상위성을 쏘아올리려던 델타 로케트가 발사 71
초
만에 주엔진에서 고장을 일으켜 지상에서 폭파시켰다. 이밖에 지난 4월 25일에는 작은 로케트이기는 하지만 '나이크-오리온'(Nike-orin) 로케트도 폭발, 올들어 모두 4건의 사고가 생긴 것이다. 민주당 상원의원 ... ...
NMR로 식물을 진단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탐색하고 있다. 연구용 스캐너는 의료용과 거의 같은 형이고 같은 크기다. 도너츠형
초
전도전자석(超電導電磁石)의 직경 1m되는 구멍속에 지자기(地磁氣)의 3만배인 1.5테슬라(tesla)의 자장을 만들어내 이곳에 관찰할 식물을 둔다. 연구 그룹은 뿌리의 수소원자가 움직이는 상태를 관찰하여 뿌리조직 ... ...
초
음파 모터 실용화 단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초
음파 모터'와 '원환형(円環型)
초
음파 모터'의 개발에 성공했다. 원리는
초
음파로 1
초
에 수만회의 상하진동을 일으키고 그 진동파의 정점이 조금씩 옆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 용도는 거의 무한해 각종 사무자동화기기, 카메라의 '오토포커스' 관련 부품, 로보트 관절이동, 뉴미디어 등에 ... ...
기상의 인공조절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1960년대
초
에 양인기 박사(현재 부산대 교수)가 AgI살포실험을 국내 최
초
로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후속연구가 없어서 더 이상의 연구결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인공기상조절기술은 아직 실험단계이며 확실한 예측을 불허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기술의 실용화를 시도하려면 구름자체에 대한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소련 기술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그 뒤 새로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는 단순히 이 최
초
의 규모를 늘려서 설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바꿔 말해서 위험도도 그만큼 늘어 났다는 것을 말한다. 더우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새로 건설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위치를 소련의 유럽쪽 ... ...
간염백신의 대량생산 길을 활짝 열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그러나 연구원의 수준은 고르지는 않습니다만, 근래에 매우 높아진 것 같아요" 40대
초
반의 소장학자로서 계속해서 주목받는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는 이원영교수는 충북 청주출신. 대학에서는 축산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보건대학원을 나온 이색적인 경력을 갖고 있다. 암바이러스를 본격적으로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활성을 유지하는데 화학적으로 칼슘과 비슷하게 행동한다. 땅에 떨어진 스트론튬은 목
초
에 흡수되고 농축되어 이를 먹은 암소의 우유에 고이게 된다. 체르노빌 사고시 대량의 우유가 폐기처분된 것은 이 때문이다. 사람이 이 우유를 마시면 스트론튬은 칼슘처럼 흡수돼 뼈에 모여 암과 백혈병을 ... ...
케이블 TV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쌍방향 CATV설치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기술적 문제 없다우리나라는 어떤가? 60년대
초
난시청 지역인 일부 농어촌지역에 정규녹화필름만을 재방송할 수 있도록 유선방송수신관리법을 제정했으나 그 실효성은 극히 적었다. 현재 관계법규는 유명무실한채로 집계에 따르면 전국에 1천여개의 ... ...
지상 최대의
초
전도 입자가속기 제작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두 개의 진공튜브가 들어 있는데 이 속으로 양성자 빔이 흐른다. 튜브 둘레에는 강력한
초
전도 자장이 걸려 동력소비를 최소화하고 양성자 빔을 모아준다.두 튜브 속의 양성자 빔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가속되는데 15분 만에 20조 eV의 에너지 상태에 이른다. 이때 전자기 문이 열려 두개의 빔이 ... ...
세계의 핵 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1회의 연쇄반응에 필요한 시간은 1억분의 1
초
에 불과하므로 전 에너지는 불과 1천만분의 1
초
이하의 시간에 방출된다는 계산이 된다.핵분열반응에서는 질량이 없어진 만큼 에너지가 되어 방출된다. 하나 하나의 원자는 에너지의 밸런스 상태에 있으며 질량의 내부에 잠긴 '막대한 양의 에너지'는 강한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