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51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쪼여 성분분석 ‘광학기술’… 미생물 이용한 ‘대사공학’…
2015.10.26
제공 “쓰레기 처리의
핵심
은 ‘선별 기술’입니다. 엉망으로 섞여 있는 대량의 생활 쓰레기 중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만 기계로 골라내는 거죠.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쓰레기 처리 방식도 큰 폭으로 변화할 겁니다.” 환경부 산하 폐금속유용자원재활용기술개발사업단(재활용사업단)의 ... ...
“산업수학, 수학의 대중화에도 기여할 것”
2015.10.23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형태를 찾는 ‘위상적 데이터 분석’ 기술이
핵심
이었다”고 설명했다. 100만 건의 신용카드 거래와 사용 패턴을 분석해 데이터의 형태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정 사용과 관련된 모양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부정 사용 그룹을 찾아내는 식이다. 현재 이 ... ...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향후 10년 과학기술정책의 이정표 ‘대전선언문’ 나왔다
2015.10.22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대전선언문'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준비기획단 제공 “고령화와 전염병 등 전 지구 ... 이번 선언문에 담긴 의제는 22일 열리는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총회를 거쳐 OECD의
핵심
정책으로 채택된다. ... ...
이렇게 하면 안 갈라져요~ ‘무결점’ 나노입자 코팅법 찾았다
2015.10.20
때 발생하는 크랙(갈라짐)을 해결할 방법을 찾아냈다. 태양전지나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부품인 유연전자소자 등의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원병묵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팀은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랙이 심하게 발생하며, 나노입자를 코팅할 때 고분자 물질을 ... ...
[신나는 공부] 독서가 뜬다
동아일보
l
2015.10.20
서울대는 학생부종합전형 대학별 자율문항에 독서 문항이 따로 있을 정도로 독서가
핵심
평가요소다. 최근 공개한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동영상에서도 ‘공부를 하면서 관련된 독서를 하고 스스로 사고의 폭을 넓힌 학생이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찾으려는 인재상’이라고 밝혔다. 독서=면접 경쟁력 ... ...
"디지털혁명은 최고 과학기술혁명 될 것"
2015.10.20
“한국은 사물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전송 휴먼인터페이스’ 등 20개 미래
핵심
기술 중 11개 분야에서 선도 주자”라고 평가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세계 평균이 2.4%인데, 한국은 4.1%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리프킨 ... ...
대학넘어 초·중·고에도 SW열풍 “미래형 과학, 산업 인재 키운다”
2015.10.18
예정이라고 밝혔다. SW가 국어, 영어, 수학, 과학에 이어 학생이 반드시 공부해야 할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SW산업을 이끄는 미국도 대학 연구개발(R&D)에 40여 년간 집중 투자해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 인재 배출을 꾀하고 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아이들과 직접 코딩하면서 ‘코딩 ... ...
무인자동차에 출근 맡기고 통역 앱으로 바이어와 대화 술술
2015.10.16
제공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 않아도 목적지까지 스스로 운전하는 무인자동차의
핵심
기술은 ‘눈’에 해당하는 카메라다. 핸들을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여 도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달리거나 갑자기 나타난 장애물을 피하는 등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인자동차의 시력이 좋아야 ... ...
나노기술 사업화 성과 속속
2015.10.15
박재문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지난 10년간 나노팹은 나노기술 상용화를 위해
핵심
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며 “정부도 나노기술의 산업화 및 관련 기업 지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中, 제조 대국에서 강국으로 거듭날 것”
2015.10.15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류 교수는 5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중국 제조 2025’의
핵심
자문위원으로 한국공학한림원이 창립 20주년을 맞아 개최한 산업혁신 전략 국제콘퍼런스 연사로 참석했다. 최근 중국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연구개발비의 비중이 8%인 미국과 비교해 2%에 그친다는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