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10
- 진화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정설’이 있었다. 700만 년 전 최초의 인류 후보가 나타난 이후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유명한 ‘루시’가 속한 종) 등 다양한 원인(猿人)이 등장해 아프리카 전역에서 번성했다. 그 가운데 드디어 우리 인류의 직계 조상이라고 할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10
- 유명하다.전혀 별개인 것처럼 보이던 전기와 자기가 전자기력으로 통일된 것처럼, 이후 전자기력은 약한 핵력과 통일됐다.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강한 핵력도 여기에 합세해서 명실공히 통일이론의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이 마지막까지 절실하게 추구하던 중력과의 통일이론은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10
- 바꾸며 바나나 풀을 죽여 버리지요. 파나마병은 전세계로 퍼져나갔고, 결국 1950년대 이후, 바나나 농장에서는 그로스 미셸을 찾아볼 수 없었답니다.그로스 미셸 바나나가 농장에서 사라지고 나서 바나나 농장 주인들은 파나마병에도 끄떡없이 살아남은 캐번디시 바나나를 키우기 시작했어요.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10
- 달리 원형 탁자에서는 어디에 앉더라도 상하 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원형 탁자를 만든 이후부터 더 이상 싸움은 일어나지 않았다.이후 원탁은 아더 왕 전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세기 말 영국의 작가 라야몬의 작품 에는 무려 1600명이 한꺼번에 앉을 수 있는 거대한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09
- 후보 1순위로 꼽히는 행성이다. 생존에 필수 요소인 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960년대 이후 화성에는 궤도 위성, 탐사선, 로버 등 수십 개의 무인 탐사선이 갔다. 그중 1971년 미국의 매리너 9호가 최초로 화성의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1976년 미국의 바이킹 1호가 최초로 화성에 착륙해 6년 동안 임무를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09
- ‘논리’의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미분의 원리가 완벽해진 이후 수학자들은 복잡한 대수적 내용을 미분을 이용해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연구했다.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를 찾는 문제와 2계 미분, 그리고 보다 더 어려운 문제인 적분도 고민하기 시작했다. 상미분방정식,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09
- 중앙제어식 로봇 축구에 대한 연구 논문은 2000년대 초쯤 정점을 찍고 점차 줄어 2010년 이후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기술이 성숙할 대로 성숙한 것이다. 이제는 로봇축구대회에서도 인공지능과 휴머노이드가 ‘대세’다. 김 교수는 “로봇 6대와 사람 5명이 한 팀을 이루는 경기를 구상하고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반응시켜 천연플라스틱과 비슷한 성질의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거지요.이후 전세계의 많은 화학회사들이 플라스틱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고, 그 결과 나일론과 스티로폼, 합성고무, 페트 등 다양한 플라스틱이 탄생하게 됐답니다. 1 변신 “플라스틱이 이렇게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수학동아 l201509
- 성당의 파사드 부분을 완성했다. 또 가우디는 ‘신은 서두르지 않는’며 본인이 죽은 이후에도 건설이 멈추지 않도록 수없이 많은 도면과 모형을 남겼다. 이를 바탕으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은 그의 사후 100주년을 맞는 2026년에 완공 예정이다.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가우디의 제자들은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09
- Peg b는 폭발 이후 중심별로부터 거리가 1.7AU로 더 멀어졌다. 태양계로 치면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 지구의 위치가 현재보다 더 뒤로 밀려났다는 뜻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중심별이 폭발한 뒤 질량과 중력이 줄면서 1.0AU만큼 떨어져있던 V391 Peg b 행성이 더 멀어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