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파
발견
발각
탄로
적발
d라이브러리
"
탐지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신무기들
과학동아
l
198604
받으면 CLGP를 선택하여 레이저
탐지
기를 레이저 조사기의 파장 및 '펄스'코드에 맞추고
탐지
기 '타임머'를 작동시킨다. CLGP는 표적 근방으로 발사되어 처음에는 기존포탄의 탄도를 따라 가다가 꼬리의 날개를 작동시켜 궤도수정을 한다. 1978년에 개발이 끝나 80년대 중에는 실전배치될 전망이다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04
열추적 미사일과 레이다 유도 미사일의 일제사격을 받는다. 하지만 엔진 연소가 적외선
탐지
기로부터 가려져 있고 바깥막이 공대공 주파 레이다의 에너지를 거의 다 흡수하는 '스텔드'는 어느 쪽의 공격에도 안전하다. 다시 구름층으로 들어간 '스텔드'를 찾아 속도가 휠씬 빠른 '수호이'기가 ... ...
블랙홀의 정체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04
온도가 1천만 도를 넘어 파장이 매우 짧은 빛, 즉 X선을 발생하게 된다. 수년전에 X선
탐지
장치를 실은 인공위성으로 이러한 X선천체를 많이 발견했는데 백조자리의 X-1은 연성을 이룬 검은 구멍의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성은 약 6천광년 거리에 있는 푸른 큰별인데(질량 약3 ... ...
바다밑을 정복한다 만능의 잠수로보트
과학동아
l
198604
군사적으로 해류의 흐름을 측정해 해양지도를 만든다거나 어뢰의 제거 그리고 수중음파
탐지
등의 여러가지 일도 한다.잠수 로보트의 유용성 그리고 경제적이득이 확실해지자 기술자들은 보다 정교하고 작동하기가 쉬운 로보트를 만들기위해 힘쓰고 있다. 바다속은 지상보다 활동하는데 조건이 훨씬 ... ...
지구는 더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03
치지는 않을 것이오"라고 대답하였다. 그는 대신에 대양위를 덮고 있는 미량 기체들을
탐지
하는 프로그램 연구가 더 시급하다고 여기고 있다. 따라서 그는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로 대기를 감시할 방법에 대해서 심각하게 논의해야 할 때이다"라고 주장한다.이산화탄소 문제로 과학자들 ... ...
세계 최초의 뇌조직 재생
과학동아
l
198603
상태는 좋아졌다. 그는 팔을 움직이기 시작했으며 '도파민'부산물이 증가하는 것이
탐지
됐다. 이 환자는 그러나 3년 반이 지난뒤에는 과거상태로 돌아갔는데 다행스러운 것은 사태가 악화되는 것이 중단된 것이다. 두번째의 여자환자는 43세였는데 첫번째 환자보다 상태가 더욱 나빠 약이나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03
인공위성은 아무런 구애받음없이 상대방 지역위를 나르면서 마음대로 사진도 찍고,
탐지
도 할수있으니까 보다 정교하고 보다 다양한 첩보위성을 그동안 수없이 미국과 소련은 발사해 왔던 것이다. 이것이 SDI(별들의 전쟁)즉 우주전쟁의 구상으로까지로 발전돼 있음은 여러가지 보도를 통해 잘 ... ...
소련의 전략무기와 군사과학
과학동아
l
198602
여섯곳에 조기경보 레이다기지를 설치해 상대방의 공격규모를 알아내고 위성에서
탐지
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해놓았다. 최근에는 또 다른 여섯군데에 보다 정밀한 레이다 기지를 건설하고 있는데 다섯군데는 이미 완성이 됐다. 이 가운데 요즘 미국과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몽고 북쪽에 있는 ... ...
41분간의 전쟁 스타워즈
과학동아
l
198601
적의 ICBM발사를 확인하고 통보해 줄때와 동시에 시작된다. 위성의 적외선
탐지
기(센서)가 미사일추진체의 분사열을 찾아내고 레이저 레이다가 추적하면서 조준을 한다. 요구 정밀도는 0.2마이크로 라디안(약10만분의 1도). 이 작업은 불과 몇초 내에 이뤄져야 한다. 이것은 MIT의 린컨연구소와 ... ...
시간이 지나면 원자도 죽는다
과학동아
l
198601
학계에서 공인받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모튼'암염광에서 물을 이용한 '케렌코프'
탐지
기를 쓴 대규모 관측에서도 양자붕괴는 목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자들은 양자붕괴의 증거가 곧 나타날 것임을 굳게 믿고 있다.1백억년 전 탄생할 때 불과 직경 1㎝의 불타는 작은공이었던 ... ...
이전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