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4,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ABO식 혈액형은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인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1901년에 발견했어. 물론 1800년대에도 피를 많이 흘린 환자에게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하는 치료법이 쓰이고 있었지만 수혈을 받은 환자 대부분이 목숨을 잃었지. 혈액형의 구분 없이 수혈을 했기 때문이야.란트슈타이너 박사는 수혈을 ... ...
-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만들었어요. 지금까지 사람이 만든 검정 중에 가장 까맣답니다. 가시광선을 약 0.035%만 튕겨내고 99.965%나 흡수하거든요. 도로에 깔린 검은 아스팔트는 가시광선을 약 4%, 석탄은 0.5% 튕겨낸답니다.밴타블랙은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사람이나 무기를 가려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 ...
- 우리 동네 축구감독 ‘메시가 혼난대두’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미션4 날아오는 공을 막아라~!“이제 마지막으로 골키퍼 연습을 해 보자. 만약 시속 110km로 공을 찬다고 하면 0.4초면 골대에 공이 들어간다. 골키퍼가 공의 방향을 알아채는 데는 0.1초, 근육이 반응하는 시간이 0.1초, 골대 끝까지 몸을 던지는데 0.73초가 걸린다.결국 수학적으로는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아이디어에 자발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식이지. 3두들러는 5주 만에 전 세계 2만 6400명이 약 26억 원의 후원금을 내놓아 2013년 킥스타터 도구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해. 꼭 외워야 하는 것은 3D펜으로 입체적으로 써서 여기저기 놓으면 금세 외울 수 있지 않을까?시험에 필수! 컴퓨터용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12
- 그러나 무한의 경우에는 그 순서가 정반대다. 기호 ∞가 먼저 자리를 잡은 다음, 약 200년이 지난 뒤에야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이다.“수학의 본질은 자유에 있다”고 주장한 칸토어의 말처럼,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할 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12
- 새로운 문제가 우리를 괴롭힐 것이다. 바로 재료다. 플라스마의 가장자리 온도가 1000K 이하라 할지라도, 이 온도조차 오래 견딜 수 있는 재료는 흔하지 않다. 더구나 플라스마 연료(중수소, 삼중수소)를 오염시키지 않는 재료를 찾아야 한다. 또 플라스마가 불안정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돌발현상은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12
- 상주하며 세계의 공학자, 과학자들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본부장은 “EU의 3500명에 비하면 인원은 적지만, 케이스타를 운영한 경험과 뛰어난 두뇌를 바탕으로 세계와 대등하게 연구하고 있다”며“세계와 협력하고, 원천기술도 확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에 모두가 열정을 갖고 참여하고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12
- 측정해 기록했다. 그 결과 시끄러운 지역에서 일부 종(브라질 큰귀박쥐)의 활동량이 40% 가까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박쥐가 내는 초음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활동량에 차이가 나는지도 조사했는데, 주파수가 낮은(35kHz 미만) 박쥐 종의 70%가 활동량이 떨어졌다.연구팀은 또 채굴장 주변에서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12
- 긴 역사에서 보면 소중한 경험인 셈이다. 그렇게 실패를 거듭하던 화성탐사도 2000년 이후에는 12번의 시도 중 9번이나 성공했다. 이제 인류는 혜성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지평을 넓혔다. 머지않아 ‘제2의 로제타’가 나올 것이다. 늘 그랬듯이, 우린 답을 찾을 것이므로.▼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12
- 이렇게 만들어진 삼각형의 세 변은 직선이 아닌 곡선이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보다 커진 것이다.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와 그의 제자 리만이 처음 발표한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수학적 토대를 마련했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면서 “만일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