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벨
탁령
물방울
거품
포말
기포
초인종
d라이브러리
"
방울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좋아지는 냄새는 없을까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장소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무엇이 그녀를 망각의 세계로 떨어뜨렸을까.향수 한
방울
위해 6만 송이 희생'범인'은 매장의 꽃냄새였다. 그 냄새는 그녀가 어릴 때 집에서 늘 맡던 향내였다. 냄새를 통해 그녀는 순간적으로 '꿈많은 어린 시절'로 돌아간 것이다.보석가게와 같은 고급매장에는 좋은 ... ...
3. 열역학법칙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질서 또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잉크 한
방울
을 물에 떨어뜨렸을 때 잉크
방울
이 퍼지기 전, 즉 물과 잉크가 섞이지 않은 정돈된 상태는 질서 상태다. 그러다 잉크와 물이 섞일수록 질서가 줄어들어 무질서도가 증가한다.열역학에서 엔트로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보자. 절대온도가 T인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나란한 Y자 모양이 우리의 눈길을 끈다. 여기서 양극이 상대적으로 밝은 것은 미세한
방울
들로 이루어진 안개 때문이라고 생각되는 한편, 어두운 부분은 고층 대기에 이산화황(${SO}_{2}$)이 특히 많은 곳이다. 천문학자들은 마리너10호, 파이어니어호 등의 관측을 통해 고층 구름이 4일만에 금성을 한번 ... ...
화학- 글씨가 보이지 않는 비밀편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섞는다.③뜨거운 물을 더 넣어서 엷은 녹말용액을 만든다.④여기에 요오드팅크 용액을 3-4
방울
떨어뜨린다.⑤용액의 색깔이 청홍색으로 변하면 얕은 접시에 옮기고 이것을 잉크로 하여 편지를 쓴다.⑥잉크가 어느 정도 마르면 벽에 붙인다.⑦다른 한장의 편지를 더 써서 이것은 비닐 랩으로 공기가 ... ...
독가스 '사린'의 정체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밀리터리 밸런스'에 소개된 사린의 화학식은 ${CH}_{3}$(${C}_{3}$${H}_{7}$O) FPO. 한
방울
(약2㎎)만 인체에 튀겨도 죽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1㎥의 대기중에 1백㎎의 사린이 함유돼 있으면 30초만 지나도 95%가 15분내에 사망할 정도의 독성이다.나치독일이 개발은 했으나 국제적 비난이 두려워 정작 2차대전 ... ...
화학- 달콤한 솜사탕 내 손으로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서두르다가 손을 라면상자 깊숙이 넣게 되면 캔으로부터 튀어나오는 뜨거운 설탕
방울
들이 여러분의 손을 당황하게 만들 것입니다.그러면 솜사탕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는지 그 원리를 알아봅시다. 가열된 깡통 속의 설탕이 점점 녹아서 액체가 되면 회전하는 깡통의 원심력에 의해 깡통의 작은 ... ...
화학- 맞아도 아프지 않은 알코올 권총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나사못 머리 등도 모두 둘러 감아야 손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⑨ 알코올을 한
방울
정도 넣고 뚜껑을 닫은 뒤 잘 흔들어 주고 나서 사람이 없는 쪽을 향해 발사해 본다. 자, 자신이 만든 권총이 마음에 드나요? 그러면 이제 발사되는 이유를 알아 봅시다. 알코올을 필름통 안에 넣고 흔들어 주면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볼 수 있다. 식물에서는 입과 가시가 줄기 주위를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많다. 솔
방울
해바라기 국화꽃 등도 눈에 띄는 나선구조다.그중에서도 두족류인 앵무조개 내부는 가장 확실한 아름다운 나선 모양을 드러내 보인다. 이는 대칭나선이다. 1638년 프랑스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가 최초로 그 ... ...
안약 한
방울
로 알츠하이머병 진단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문제점은 원인불명인데다가 진단이 곤란하다는 점. 이 알츠하이머병을 안약을 한
방울
떨어뜨리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개발돼 화제가 되고 있다.알츠하이머병은 조금씩 건망증이 심해지고 지능에 장애가 일어나는 진행성 질환. 미국에서는 65세 이상의 10%, 85세 이상의 20%가 이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한다. 왜냐하면 물컵속에 퍼진 잉크분자가 어느 시기에 '한번 뭉쳐볼까?'하고 원래 한
방울
의 잉크로 뭉치는 가역적(reversible) 현상은 절대로 없다.우리 인류 역사를 통틀어 이러한 열역학의 제 2법칙을 위배하는 어떤 현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이런 열역학 제 2법칙이 우주에 존재하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