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깃털처럼 가벼운 금속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비워 빈 다발을 만들었다. 이 다발은 서로 연결돼 3차원 격자구조를 이룬다. 덕분에
부피
에 비해 매우 가벼워 어깨 높이에서 떨어뜨리면 깃털처럼 10초 이상 공중을 떠다닐 정도로 가벼워졌다.충격을 흡수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50% 이상 변형됐다가도 완전히 원상 복귀하는 수준으로 고무와 비슷하다.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배치하는 게 좋다.4차원 이상 초공간이라면?그러나 진짜 산타에게 도움을 주려면 포장의
부피
를 줄이는 문제를 3차원 공간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하룻밤 사이에 전 세계를 돌며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전달하는 산타는 최소한 4차원 이상의 초공간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질을 입자 덩어리가 ... ...
Part 2. 털 벗은 인간, 다시 털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중공을 잊지 않았다. 보통 나일론으로 실을 만드는데 여기 들어 있는 중공의 크기는 실
부피
의 10~70%를 차지한다. 나일론 중공에도 공기가 들어 있어 동물의 털만큼 따뜻하다.꼬불꼬불한 털이 더 따뜻해모양도 공기를 담는 데 영향을 미친다. 양털처럼 꼬불꼬불한 털을 뭉치거나 직물을 짜면 더 많은 ... ...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닮음비를 이용하면 걸리버의
부피
를 구할 수 있다.이렇게 해서 작가는 걸리버 몸의
부피
가 소인국 사람 1728명의 몸을 합한 것과 같기 때문에 식량도 1728명 분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또다시 의문이 생긴다.작가는 왜 소인국과 걸리버의 키의 비로 10이라는 계산하기 쉬운 숫자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위 덩어리 하나로 돼 있는 게 아니라 작은 바위들이 얼기설기 모인 무더기로 전체
부피
의 40%가 사실상 빈 공간이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토카와는 다른 소행성과 충돌해 산산조각이 난 뒤에, 근처에 남아 있던 서너 개의 소행성 잔해가 상호 중력으로 다시 뭉쳐서 생겼다고 추측할 수 있다. 실제로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체관(광합성 산물을 수송하는 조직)과 물관(물과 이온을 수송하는 조직)의 물이 얼면
부피
가 팽창하면서 얼음 결정이 세포를 파괴한다.3단계의 낙엽 프로그램따라서 식물은 잎을 지닌 채 겨울을 날 것인지 떨어뜨리고 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전자의 전략을 택한 종류가 상록수이고(온대나 한대 ... ...
수학 - 잘게 쪼개고 더하는 구분구적법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구분구적법의 의미는 말 그대로 잘게 쪼개고 이 요소를 모두 더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간혹 학생들이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에 의해 둘러싸인 넓이나
부피
를 구할 때 엉뚱한 적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구분구적법의 색다른 방법과 적용을 실전논제를 통해 알아본다. ...
코끼리 코 흉내 내는 ‘탄소나노튜브 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뭉치를 나선형으로 꼬아 새로운 인공근육을 개발했다. 이 인공근육에 전기를 흘려주면
부피
가 팽창하면서 나선형으로 회전한다.과학자들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을 개발해 왔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 여러 개를 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탄소실’이 된 탄소나노튜브 뭉치는 기존의 ... ...
건전지 없이 라디오를 듣는다고? 광석라디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진동시키는 힘을 얻는다. 광석라디오의 안테나는 공중의 전파를 잘 잡기 위해서
부피
가 크다.이 원리를 응용하면 신기한 실험을 할 수 있다. 안테나 부위를 수도꼭지, 전화의 접지선 등에 연결해 보자. 그냥 들었을 때보다 훨씬 또렷하고 크게 들린다. 수도꼭지, 전화선 등을 통해 건물 전체가 전파를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에너지화석연료 중독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쓰는 석유는 약 230만 배럴로, 장충체육관
부피
의 5배가 넘는다. 영국의 한 석유회사는 2030년 무렵이면 지구에 석유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 예측했다. 화석연료는 해마다 27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물물 부족 지구온난화로 산 위에 저장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