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담
협의
의논
조언
담화
d라이브러리
"
상의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부패를 지연하거나 방지시키기 위해서 ▲향기와 색깔을 강화하기 위해서 ▲영양
상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식품에 가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식품 첨가물은 식품의 본래 성분이 아니므로 그 자체로는 식생활과 관계가 없지만, 식품과 공존함으로써 음식물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 ...
통신시장개방, 정보예속 초래할 위험 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거쳐 원산까지 깔았던 해저 케이블임을 밝혀냈다. 당시 일제는 한국정부와 아무런
상의
없이 이 해저케이블으르 가설했다가 한국측으로부터 외교적 항의를 받았다는 문서가 아직 남아 있었던 것이다.현지를 답사한 한국전기통신공사 사료편집부 신영철씨는 발견 당시의 섬찟한 느낌을 공사의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연구개발사업에 조기에 투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이 문제는 국방부와
상의
중에 있지요. 사실 국방력도 국방기술에 좌우되고 있다고 보는 게 타당해요. 예컨대 미국은 국방부가 NASA등에 투자, 연구성과물들을 얻어내고 있어요."―포스트 닥(post doc)이라고 하면 생소한 용어인데요.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알기 위해서는 탄소(${C}_{14}$)의 양을 측정해야 하는데 한번 검사하는데 적어도 3백그램이
상의
뼈를 태워야한다. 1차 검사에서 ${C}_{14}$를 검출하는데 실패해 재검사를 준비중에 있다"고 밝히고 "흥수아이가 구석기 인류임에는 분명하지만 곧바로 우리 민족의 조상이라고 보기에는 성급한 감이 없지 ... ...
광학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비)은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의 비와 같다. 따라서
상의
크기는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거리와 관계가 있고, 카메라 렌즈의 곡률 반경과는 관계가 없다.10. (2) 진동수가 큰 빛일수록 많이 굴절되는데 붉은 빛은 푸른 빛보다 진동수가 작다. 따라서 렌즈는 붉은 빛보다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동안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하여도 S S'에 대한 A A'의 좌표는 각각 다를 수도 있게 된다. S
상의
A와 똑같은 좌표를 갖는 S'
상의
점을 A"이라 하면 A'점과 A"점 사이의 거리는 공간벡터(vector) $\overrightarrow{β}$에 의해 $\overrightarrow{β}$로 주어지는 데, 이렇게 정의된 $\ove ...
우리의 실정은 어떠한가? 신물질이 탄생 되기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국내에서도 '완전한' 신물질이 개발될까? 최근에는 유전공학기법과 미생물공학기법을 적절히 활용한 새로운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지난 해는 필자에게 잊을 수 없는 한해 ... 이 작업이 끝나면 완전한 신물질의 탄생을 알린다. 여기까지 작업이 진행되려면 대개 10년이
상의
세월이 걸린다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인간의 심장고동 리듬이 지닌 흔들림 현상과 음악의 그것이 꼭 같다. 이를 밝혀나가면 자연계의 수수께끼 하나가 풀릴까?스피커의 전면에 쳐놓은 네 ... 단계이지만 이런 연구와 실험이 더욱 발전되면 생체와 음악에 다같이 감추어져있는 흔들린 현
상의
수수께끼를 풀게될 날이 있을 것이다 ... ...
기업혁명 일으킬 EDI 열풍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내릴 수 있다.또한 청구서
상의
정보가 바로 재활용되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주문서
상의
정보와 자동으로 비교, 대금결제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원활한 정보의 교환은 거래당사자 상호간의 결속 및 합리적인 거래 관계의 수립에 도움이 된다. 1천대 기업중 30% 이상이 채택경제전문지인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하고 있다.그러나 여기에는 만만찮은 장애물들이 가로막고 있다. 오늘날 1백종류 이
상의
소립자가 발견되어 현재의 이론으로는 전부 수용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이들 소립자의 구조에 대해 처음으로 말문을 연 사람도 역시 하이젠베르그였다. 그는 이렇게 홍수같이 쏟아져나온 소립자들이라 해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