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신경
아마천
린네르
실
힘줄
솜털
d라이브러리
"
섬유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외배엽 세포로 만들었다. 그리고 여기에 ‘FGFs’라는
섬유
세포 성장인자를 첨가해 유모세포로 성장시켰다. 이렇게 분화된 유모세포는 소리를 감지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켰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형태도 실제 쥐에서 추출한 유모세포와 비슷했다.신 박사는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 유니폼은 무게가 약 130g으로, 지난 2006년 독일월드컵 때 입었던 것보다 15%나 가볍다.
섬유
자체에 공기 투과율이 7% 높아져 시원한 데다 땀에 젖어도 금세 마른다. 신축성이 강화돼 거친 몸싸움에도 옷이 늘어나거나 찢어지지 않는다. 축구화 매년 나이키와 아디다스, 푸마 같은 스포츠웨어 ... ...
두 손 모아 지구를 꼬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손으로 정성스럽게 안은 듯한 이 사진은 머리카락의 500분의 1 굵기의 플라스틱
섬유
가 또다른 플라스틱 공을 감싸는 장면이에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공학 및 응용과학대학 박사 과정 홍성강 연구원이 고분자 물질의 제조 방법을 연구하다가 촬영했답니다. “지구를 살리자, 푸르게 푸르게~!”라는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런 ‘민간 요법’ 중에는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것들도 있다.장 청소를 하거나 식이
섬유
를 섭취해서 변비를 제거하면 복부 비만이 해결될 것이라는 생각도 그중 하나다. 사실 장 청소나 변비는 지방 용해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오 교수는 “장 세척을 하면 장 속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하는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눈에 띄게 약해졌다. 그런데 최근 미국 케임브리지의 한 광학회사가 구부러지는 광
섬유
관을 통해 강한 탄산가스 레이저광이 나오는 장비를 개발했다. 마치 호스처럼 레이저를 환부에 도달하게 하는 셈이다. 이 장비를 이용하면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깊숙한 환부까지 레이저로 시술할 수 있고, 기구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설명했다. 현재 프랑스는 11.7T(테슬라) MRI를 개발하는 중이다. 고자장 MRI를 가동하면 신경
섬유
를 100~2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수준까지 볼 수 있다. 17T 수준의 MRI가 개발되면 세포 단위로 촬영할 수 있다. 그는 “MRI 기법이 정보의 방향과 경로만 추적한다는 지적이 있다”며 “앞으로는 얼마나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선생님의 말씀을 들었지. 선생님께서는 전통 매듭에 대해 설명해 주셨어."매듭 기술은
섬유
를 맺고 짜는 것인데, 고대 문명을 꽃피우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생기고 전파됐어요. 그렇기에 역사가 깊은 나라라면 거의 대부분 이런 매듭 기술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오직우리나라만이 매듭 기술을 ... ...
찌릿찌릿 전기가 나오는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옷의 모양이 변해도 안정적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연구팀은이
섬유
를 휴대용 전자 제품의 배터리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답니다 ... ...
판다는 원래 육식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유전자가 기능을 하지 않아서 고기맛을 느끼지 못한답니다. 심지어 저는 대나무의
섬유
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도 적어요. 대신 내장에 사는 미생물이 대나무의 소화를 도와 주지요.대나무를 먹는 귀여운 자이언트판다의 이미지가 좀 구겨지는 것 같은데요? 기분이 나쁘지는 않나요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조절하는 염소이온 채널 유전자인 ‘아녹타민1’을 최초로 발견해 난치병인 낭포성
섬유
증 치료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교과부는 또 40세 미만의 신진 과학자들에게 수여하는 ‘제13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에 조광현(38)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전기·전자), 서갑양(37)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