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변화를 일으켜 전압 형태의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의 읽기
쓰기
에 이용되는 ‘리드 헤드(read head)’를 다강체로 바꾸면 전력 소모를 훨씬 줄일 수 있으며 정확한 읽기가 가능하다.다강체는 라디오파와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소자로도 쓰일 수 있다. ... ...
연산 정복하기①!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잘 이해하지 못하고 혼용해 쓰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예를 들어 ‘1×x는 1을 생략해 x로
쓰기
로 한다’는 약속을 보고 0.1×x도 0.x의 모양으로 써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하죠. 만약 이런 실수를 한다면, 문자와 숫자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경우죠.이 이야기는 다음 호에서 더 자세히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한다. 그리고 요즘 출시되는 영어 교재의 음성 파일을 들으며 듣기를 연습하고, 독해와
쓰기
의 단계로 나아간다. “자, 이제 꿈이 구체화되니까 뭘 해야 할지 계획이 생기지? 봉사활동도 네가 좋아하는 일에서 자연스럽게 뻗어나올 거야.” 예를 들어 고아원이나 양로원에 가서 행사 때 무료로 영상을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또 암세포와 결합하는 화합물을 만들어 몸 안에 암세포가 있는지 없는지 알아내는 데
쓰기
도 하지요. 이처럼 화합물이 없어지면 우리 몸에 어디가 아픈지 진단하는 것도 어려워질 거예요. 천연 물질 뜯어보기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 물질의 성분을 분석해서 필요한 성분을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종류도 다르다. 항공모함용 해군기는 공군기지에서 쓸 수 있지만 공군기를 항공모함에서
쓰기
란 불가능하다. 먼저 바퀴(랜딩기어)가 월등히 튼튼하다. 좁은 활주로 위에 부딪치듯 정지하고, 급가속해 하늘로 떠오를 때 큰 충격을 받기 때문이다. 튼튼한 착함고리를 달고 있고, 좁은 공간에서 강하게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알 등 수생생물을 이용하며,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할 때는 사람의 세포를
쓰기
도 한다. [➊ 한 연구원이 실험에 열중해 있다. 이곳의 연구원들은 여러 하천에서 수집한 물에 어떤 오염물질이 들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➋ 산업이 발달할수록 잠재 유해물질의 종류가 늘어나기 ... ...
글 못 읽는 사람, 사람은 더 잘 알아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박사는 글을 읽는 능력과 얼굴을 알아보는 능력이 서로 경쟁하기 때문이라며, 읽고
쓰기
를 하는 문자생활 때문에 얼굴을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졌을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자기공명영상장치 : 자기장을 이용해 몸 속을 들여다보는 장치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길을 제시하고픈 바람으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생화학을 전공하며 박사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대장균으로부터 리보핵산을 분리하고 인위변이를 만들어 생화학적인 특성을 연구했다. 연구를 진행하며 리보핵산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분해되면서 몇 달씩 진행해온 연구결과물을 폐기해야 하는 일이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갖는다. 세포 안에서 지방산을만들 때 탄소 2개로 이뤄진 ‘아세틸기’를 단위로
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레이산은 탄소 몇 개로 이뤄져 있나?”라는 객관식 문제가 나왔을 때 홀수(예를 들어 17개)는 무조건 정답이 아니다. 집합을 알면 분자가 보인다!자연계에 존재하는 분자 가운데 2차원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이브리드 전력 뇌파도 시스템’을 개발했다. 헤드폰처럼 생긴 이 장치는 머리에
쓰기
만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주변 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면 두뇌의 활동을 수시로 감지하는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