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d라이브러리
"
약물치료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약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약의 형태도 무궁무진하다. 먹는 약이 가지는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붙이는 약이 나왔고 '약발'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약이 개발된 지 오래다. 이제 계면공학은 정확하게 병원체를 공격하는 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미 '먹는 약' 만이 유일한 시대는 지났다. 로숀타입의 바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몸에 맞지 않는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질병이 없다는 건강진단만 믿다가 큰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많다. 건강을 유지하는 최선책은 자신의 몸상태를 확인하고 적합한 운동법을 찾는 것이다.몸이 특별히 아프지 않아도 자신의 건강을 정기적으로 검진하는 일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보편화된 현상이 ... ...
불로초에 도전 호르몬요법, 젊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등을 투입해서 젊음을 되찾을 수 있을까. 노인들의 생활력 향상과 질병치료를 위해 호르몬 연구가 한창이다.같은 70대 나이에도 불구하고 왜 어떤 사람들은 정력적이고 원기왕성하게 보이고, 어떤 사람들은 일상적인 허드렛일에도 남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일까. 그 이유의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미 뇌사로 사망한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등을 다는 행위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합리하다. 이는 '생명의 연장'이 아니라 단순한 '심폐기능의 연장'일 뿐이다.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가장 중대하며 엄숙한 주제다. 죽음은 고래로 사회적 종교적 의식의 주축을 이루었으며, ...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되지 않는다. 악몽만 반복되면서 수면이나 주간활동에 장애를 받는 경우 행동요법
약물치료
등을 시도해 볼 수 있다.기면병에 걸리면 낮에 갑자기 졸음이 쏟아져 참을 수 없게되고, 홍분하거나 웃거나 우는 등의 감정 반응을 보일 때 온몸의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인다. 차를 운전하다가 졸음이 ... ...
위궤양치료제 타가메트와 잔탁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종류가 가장 다양하면서도 많이 팔린는 약이 위장약이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시메티딘(타가메트)과 라니티닌(잔탁)의 총 매출액은 4조억원이다.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은 무엇일까? 바로 위장약이다. 위는 잠자는 곰과 같다. 어지간한 상처에 감각이 없다가도 일단 고장이 나면 계속해서 신 ... ...
하버드 의대팀이 밝힌 안면 두개골 기형의 최신 치료법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유전자이상으로 인한 선천성 안면 두개볼 기형. 그 원인이 밝혀졌고 치료법이 개발 중이다.단지 신체적 기형이라는 이유만으로 세상과 등을 지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현대 문명이 극히 진보된 첨단 의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인체의 신비를 전부 벗기는 데는 한계가 있는 듯하다.세계적 통 ... ...
에이즈 치료제 AZT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에이즈 연구가 시작된지 10여년. 웰컴을 비롯한 제약회사들은 끈질긴 노력으로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제 이 '불치의 병'을 완전히 제압할 날이 임박한 듯하다. 후천성 면역결핍증, 일명 에이즈(AIDS) 환자가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것은 1981년이다. 1983년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뤽 몽타니 ... ...
비타민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비타민. 동물의 신진대사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너무 많이 섭취해도 탈을 일으키는 영양소다. 이러한 비타민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종류도 많고 효능도 제각각인 비타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본다.1 비타민의 이름은 어떻게 지었나불치병으로 여겨졌던 많은 질환들이 생체에 특별 ... ...
신경안정제 리브륨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폴란드 태생인 슈테른바흐는 미국 망명후 신경안정제를 발견하는 행운을 얻었다. 이후 제약회사들의 경쟁으로 약효능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약의 남용 등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1800년대 초부터 육체의 병을 치료하는 현대약을 발견하여 온 과학자들은 정신의 병에 효과가 있는 약이 있으리라고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