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공기 속 DNA로 곤충의 생태를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비앙 로저 스웨덴룬드대 생태 및 기후과학
연구소
연구원팀은 채취기를 이용해 공기 중의 에어로졸 표본을 수집했다.에어로졸에는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명체에서 유래한 ʻ환경DNA(eDNA)’가 있다. 이렇게 수집한 eDNA에서 곤충 유래 DNA를 모두 증폭한 뒤 ... ...
[인터뷰]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생각나며 너무 속상해 모성보호실을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죠.”이를 계기로 국방과학
연구소
의 사례를 다른 연구원에도 공유하고, 여성협회와 모성보호실을 개설토록 하는 데 힘을 보탰다. 그는 “여성들이 스스로 필요한 것을 조직에게 알리고 요구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탐헉대학] 주니어 극지 연구 프로젝트 “이들은 이미 현재진행형 과학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열정이야말로 저에게 감동이었다”고 말했다.빙하탐험대 페스티벌은 강성호 극지
연구소
장이 대원들에게 수료증을 전달하며 마무리됐다. 강 소장은 “청소년들이 진지하게 해낸 탐구 결과에 놀랐다”며 “이들이 바로 미래의 극지과학자임을 다시 한 번 깨달았고 앞으로도 이런 프로그램을 많이 ... ...
[특집] 제임스 웹 너는 무엇을 보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이 때문에 먼 우주를 관찰하기 위해선 적외선 망원경이 필요하죠.NASA 외계 행성 과학
연구소
찰스 바이크만 소장은 “우주 적외선 망원경은 지상 적외선 망원경과 달리 대기의 방해 없이 우주에서 오는 적외선을 관측할 수 있다”며, “지상 적외선 망원경은 망원경이 적외선을 내뿜지 않도록 ... ...
[특집] 먼 우주를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저 비닐봉지처럼 생긴 것은 무엇일까요?크기가 굉장히 큰 것 같은데…. 사실 저것은 비닐봉지가 아닌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국가들이 협력해 개발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태양 빛 가림막이에요. 12월 22일 예정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 ... ...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만든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외계 행성을 탐색하고 탐험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저는 NASA 외계 행성 과학
연구소
소장입니다. 지상 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을 조합해 지구부터 목성까지 다양한 크기의 외계 행성들을 발견하고 관측해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하죠.외계 행성을 찾는 이유는 탐험이 인간 본성의 일부이기 ... ...
[특집] 똥으로 알아냈다! 선사시대 사람들의 식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얼마나 근사한 음식을 먹으며 지냈는지 알아볼까요? 10월 13일, 이탈리아 유락 미라
연구소
와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 박물관 공동연구팀은 2700년 전 오스트리아 알프스 산맥에 있는 할슈타트 지역의 선사시대 사람들이 맥주와 블루 치즈를 즐겼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블루 치즈는 푸른 빛을 띠고 ... ...
[기획] 복잡한 세상! 어떻게 예측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폭발+인간 활동 -> 기후변화올해 노벨 물리학상의 또 다른 주인공인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클라우스 하셀만 연구원은 날씨와 기후를 연결하는 모델을 1970년대에 개발했어요. 하셀만 연구원의 모델은 날씨와 화산 폭발, 인간 활동과 같은 큰 요인에 의해 생긴 변동을 모두 고려해 지구의 기후를 ... ...
[4컷 만화] 돼지의 신장, 사람에게 이식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0월 21일, 미국 뉴욕대학교 랑곤 이식
연구소
의 로버트 몽고메리 박사 연구팀은 돼지의 신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실험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뇌사 상태의 환자에게 신장을 이식하고 사흘 동안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확인했지요.다른 종의 장기를 이식하는 경우를 ... ...
[기획] 더 빠르게 반응하자! 비대칭 유기촉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2021년 이전까지 촉매 연구에 준 받은 노벨 화학상만 8개에 달할 정도죠.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베냐민 리스트 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화학과 데이비드 맥밀런 교수의 수상 공로로 인정된 비대칭 유기촉매란 무엇일까요? 양 손바닥을 펼쳐 보세요. 서로 닮았지만 둘은 거울에 비친 모습이라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