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장 큰 원인인 지구 온난화가 멈추지 않는이상 폭염은 계속될 거예요. 앞으로 폭염은 얼마나 더 심해질까요? 또 폭염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멈추지 않는 지구 온난화, 폭염은 얼마나 강해질까?세계 기상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인 IPCC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미세먼지, 왜 드론으로 잡을까?지난 달 서울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세먼지’를 자연재난으로 정하고 대책을 발표했어요. 그만큼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하단 말이지요. 미세먼지 해결에 가장 어려운 점은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밝히는 일이에요.더스트 버스터즈는 서강대학교 화학과 신관우 교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31초,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건물 벽이 떨어져 나가고, 땅은 쩍쩍 갈라졌다. 진앙과 가까운 포항 북구 한동대에선 학생과 교직원 수백 명이 대피했다. 일순간 도시가 패닉에 빠졌다. 지진은 서울에서도 감지됐다. 건물의 흔들림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체감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프로그램 평균 조회 수 40만회, 평균 댓글 400개! 타다시 도키에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의 유튜브 기록이에요. 수학자가 만드는 유튜브 영상이니만큼 당연히 내용은 수학! 대체 어떤 비법이 있기에 이렇게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걸까요? 바로 장난감에 숨은 수학이나 과학을 알려주기 ...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장사할 위치를 정할 땐 무작정 사람이 많은 곳만 찾아서는 안 된다. 어떤 가게가 주변에 있는지도 살펴야 한다. 핫도그 가게가 즐비한 곳에서 핫도그를 팔아서는 손님을 데리고 오려는 경쟁이 치열해서 성공하기 어렵다. 식당의 저항도 무시할 수 없다. 건물을 빌려서 식당을 낸 상인은 비싼 임대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뢰는 장사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할 때 터지는 법이야. 하루는 고기마니를 사갔던 ‘김손님’ 씨가 다시 와서 음식을 바꿔달라고 하지 뭐야. 소고기를 너무 오래 구웠는지 질겨서 씹히지도 않는다더군. 늘 초시계를 올려놓고 고기를 굽던 나는 김손님씨의 말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지.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의 변신은 다양한 수박을 만드는 데에서 그치지 않아. 먼 미래에는 우리를 이용해 자동차를 움직일지도 모른다구~! 무슨 말이냐고?버리는 수박으로 자동차를 부릉~!2009년, 미국 농무부 웨인 피시 연구원팀은 수박즙을 이용해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한 해 동안 미국 농장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강은 인류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한강이 서울의 젖줄이고 낙동강이 영남의 젖줄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세계 1위 강대국이라고 하는 미국의 젖줄은 미시시피 강입니다. 미시시피 강은 나일 강, 양자 강, 아마존 강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강으로, 전체 길이가 6000km에 이르는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여럿이 공익을 위해 힘을 보탤 때처럼, 내가 도와준 상대가 장차 내 도움을 갚으리라고 기대할 수 없을 때조차 인간은 종종 착하게 행동한다. 보답을 바라지 않는 일방적인 선행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어느 여름날, 한국전력으로부터 이런 편지를 받았다고 하자. “귀하의 도움이 세상을 바꿀 수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직관력과 지성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에 비견될정도의 인물이다.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자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1950~1970년대였다. 이 시기에 현대수학의 중요한 분야를 완전히 새로 정립했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