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d라이브러리
"
전도
"(으)로 총 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통속(대중)저술에 힘쓰고 통속강연회를 개최하는 동시에 통속과학잡지가 있어야 그
전도
가 점차 발전될 것”이라며 과학대중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934년 2월 28일 발명학회 인사들을 중심으로 31명의 사회 저명인사들은 서울 중앙기독교청년회관(현 YMCA 회관)에 모였다. 이날 그들은 과학 대중화를 ... ...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감지재료로 보통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여기에 탄소 입자를 섞음으로써 전기가
전도
되도록 했다. 이렇게 하면 다양한 플라스틱을 사용해 여러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가 가능하다. 또한 이전의 인공 코들과 달리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도 쉽게 변하지 않는다.그러나 이러한 신기술도 생물체의 ... ...
컴퓨터 회로 1백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작을수록 그 속도가 증가한다.기존의 회로와 달리 이번에 개발된 와이어는 전기를
전도
하지도 않고 광섬유도 아니다. 엽록소와 유사한 일련의 색소가 연결돼 있어 식물의 광합성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한다. 즉 와이어가 한쪽 끝에서 청록색의 빛을 흡수하면 전자에 의해 반대쪽으로 빛에너지가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자신이 제껴두었던 페니실린의 효력을 확인한 플레밍은 이후 페니실린의 위력을 알리는
전도
사 역할을 자임했다.이때부터 ‘페니실린 십자군’ 플레밍 신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됐다. 신화의 산파는 영국의 언론이었다. 영국의 한 신문이 기적의 약 페니실린은 플로리팀의 개가라는 내용을 톱기사로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제야 과학기술문화운동에 힘이 실리는 것 같아 내심 기쁨을 감추지 못했지만, 본말이
전도
돼 그게 ‘쥐약’이 될 수 있음을 직원들에 상기시키고 있었다.게다가 서울과학관이 과학문화재단 산하기관으로 된다는 풍문이 있다. 서울과학관의 운영을 과학문화재단에 맡기자는 의견은 조 이사장의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위에 전극물질을 박막으로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백금이나 알루미늄, 구리 등 전기
전도
도가 높은 금속을 많이 사용한다. 그 위에 유전체에 해당하는 물질을 입히고 그 위에 다시 전극물질을 형성한다. 이 세 층의 두께는 1μ m(1μ m=${10}^{-6}$m)가 되지 않는다. 세 층의 면적을 아주 작게 잘라도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전달하는 전기신호를 만들어내는 것은 신경세포의 가장 큰 특징이다. 신경세포는 훌륭한
전도
체가 아니지만 신경세포막 안팎의 이온의 흐름을 조절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정교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그림4).신경세포의 안팎은 세포막을 경계로 해서 생기는 나트륨(${Na}^{+}$), 칼륨(${K}^{+}$) 등의 ... ...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곳이 있다.KAIST 화학공학과 응용레올로지실험실은 정인재 교수를 중심으로 1982년부터
전도
성 고분자를 비롯해 다양한 고분자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레올로지(rheology)는 ‘유변학’(流變學)이란 뜻으로 고분자의 흐름과 변형을 연구하는 학문. 정교수는 지금까지 90여명의 석·박사를 배출했으며,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초
전도
체가 된다는 학계의 보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박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초
전도
체를 실현하는 일에도 응용될 수 있다.외국의 경우 지금까지 금속 원자 1개를 풀러렌 분자와 결합시키는데 성공했을 뿐이다. 이에 비해 박교수팀이 개발한 것은 금속 원자 3개가 각각 풀러렌 분자의 탄소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를 신과의 교감으로 받아들 인 제임스 어윈(아폴로 15호), 찰스 듀크(아폴로 16호)는
전도
사로 활약하고 있다. 잠의 비밀을 찾는 실험 - 멜라토닌 먹고 생체반응 측정하는 존 글렌사람은 날마다 한번씩 잠을 자야 하는가. 몇일씩 잠을 자지 않다가 주말에 몰아서 잠을 잘 수는 없을까. 왜 잠은 24-2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