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수륙양용 리니어모터카 구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설명한다."도로 아래에 터널을 뚫어 리니어모터카 주행용 궤도를 만들고 바다에는
해저
에 궤도를 건설하고 위를 콘크리트로 덮어 어업에 주는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렇게 전국적인 수륙리니어궤도를 완성하고 여기에 인공지능을 이용한 무인리니어를 시속 50km 속도로 달리게 한다. JR(국철)이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물리적 압력이나 영향을 받은 타의(他意)의 증거는 없는 것이 확실하다.특히
해저
암석에 기록된 지자장의 변화를 세밀히 연구한 결과, 약 2억년 전에는 모두 한 덩어리로 있었던 대륙이 그후 뿔뿔이 흩어져 지금과 같은 위치로 이동됐다는 것이 증명됐다. 이를 근거로 판구조론(板構造論) 이란 새로운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프랑스도 불과 20여년 전부터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다. 한 개의
해저
유전도 가지고 있지 않은 프랑스가 유전 개발에 기술만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원유를 공급 받을 수 있다는 점만을 보아도 해중기술의 가치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 막 걸음마 단계라 할 수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느러미를 가졌는데 이중 넷은 두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프리케씨가
해저
에서 실러캔스를 관찰하였을 때 그는 그 네 지느러미가 물고기가 아닌 네발동물의 다리처럼 움직임을 밝혀냈다.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대부분 그렇듯이 실러캔스와 올챙이와의 관계를 모든 생물학자들이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발생하는 경사진 면을 섭입대(subduction zone)라고 부른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 섭입대를
해저
확장설로 설명하고 있다. 즉 해령에서 태어난 새로운 지각물질이 긴 항해끝에 해구에 도달해 맨틀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서 수행된 지질학 여러 분야에서의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크레이Ⅰ을 석유탐사에 최초로 이용한 사람은 ARCO사의 탐사과학자들이었다. ARCO사는
해저
층에 음파를 발사하고 되돌아오는 파형을 분석해서 어떤 지층 아래 석유가 숨어있는지 분석한다. 그러나 바닷속이라고 해서 잡음이 없지는 않다. 표층의 파도소리나 물고기들에 의한 소리 등등, 이러한 수많은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호로 해양탐사한 것을 기원으로 볼 수 있다. 챌린저호의 세계주항탐험으로 북해의 생물,
해저
지형 등에 관한 지식을 축적하게 된다. 이어진 남극과 북극의 부유생물의 채집은 해양생물학 등의 발전을 가져 왔다.지구과학은 물리학 생물학 화학의 발전에 따라 20세기 초반까지는 고생물학과 암석의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들여 완성한 것들이다. 모든 것을 스스로 알아서 처리하는 이 세 로봇은 원자력 발전소
해저
화재현장 등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활약할 예정이다.지능형 제3세대 로봇시대를 홀로 맞고 있는 일본은 그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의 어느 국가도 감히 꿈꾸지 못했던 '로봇이민'을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관심을 보이지 않자 이 사업을 중단해 버렸다.1989년 초 일본 본토와 홋카이도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개통됐다. 24년간 84억달러의 돈을 퍼부어 완성된 총연장 1백30km의 이 세이칸(靑函)터널은 일본의 토목기술을 과시하는데는 성공했을지 모르나 그 경제적인 성과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들이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일고 있는 관심은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어떤 사람은 어린 시절 '타임 머신, 이나 '
해저
2만리'를 읽고 느꼈던 감동을 잊지 못해서, 어떤 사람은 추리소설을 읽다 지쳐 과학적 요소가 첨가된 새로운 추리소설을 찾아서, 또 어떤 사람은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줄 수 있는 돌파구로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