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전문"(으)로 총 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다녀왔어요!포스팅 l20160630
- 일대에서 진행되었어요. 특히 6.25전쟁이 있었던 6월25일에 이뤄져 의미를 더해주었답니다. 식물, 곤충, 지의류, 버섯 탐사를 하며 전문가 선생님들께 생물을 조사하고 채집하는 방법을 가까이서 배울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어요. 하지만 탐사장소 곳곳에 보이는 '지뢰주의' 표지판은 우리의 분단현실을 상기시켜주어 긴장도 되고 가슴 한켠이 짠~했어요 ...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6를 다녀오다기사 l20160629
- 월 25일 토요일 1박 2일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6'에 다녀왔다. 바이오블리츠는 세계적인 생물 조사 행사로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이 참여하여 현재의 지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강원도 양구로 가는 길은 멀었다. 우리식구는 늦어(2시10분 도착) E조가 되었다. 첫째 ...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생물다양성탐사대작전포스팅 l20160629
- 볼 수 있었다. 양구는 지뢰폭발의 위험이 있어 지뢰표지가 여기 저기 있었다. 지뢰가 가까이 있다고 하니 너무 무서웠다.마지막에 전문가와 참가자들이 찾은 생물종들 발표를 할 때 정말 깜짝 놀랐다. 왜냐하면 무려 1541종을 24시간 만에 찾았기때문이다. 너무 대단하다. 집에 와서 뉴스검색을 해보니 미기록 곤충 2종과 식물(자두?)1종을 발견했 ...
- 서울.라이노비틀즈2016.06.28바이오블리츠탐사기록 l20160628
- 첫날밤에 본 별을 잊을수가 없어요. 엄청많은 별★★ 이 쏟아질듯 많았거든요. 그곳은 별보기 정말 좋은 곳이라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선호하는 곳이라고 해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또 가보고싶어요. 경향신문에 관련기사가 났는데 이번 양구에서 신종식물.미기록종곤충이 발견됐었다고해요. 장이권교수님도 대암산 용늪탐사에대해 글을쓰셨고요. 이건 ...
- [서울 중구, 가위바위보] 청개구리 160606-1탐사기록 l20160607
- 충남 서산시 수석 7길, 날씨 맑음, 오후 10시, 개구리의 종류는 청개구리나 수원청개구리 추정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녹음한 울음소리와 사진은 포획한 청개구리입니다. 수원청개구리인지는 모르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님들께서 알려주셨으면 좋겠네요. ...
- 제가 키우는 백년초를 소개합니다기사 l20160606
- 지금 백년초는 꽃봉오리가 2개가 났습니다. 저는 꽃봉오리가 났지만 잎이나 백년초 열매가 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전문가도 예측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백년초의 번식 방법은 다른 식물과 매우 다릅니다. 번식 방법은 잎이 나왔을 때 그 잎을 잘라 떨어뜨려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년초 한 개를 키우면 여러 개로 번식할 수 ...
-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포스팅 l20160520
- 오늘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 다녀왔어요. 보존과학에 대해서도 더 잘 알게 되고 전문가 분도 만나뵙게 되어서 참 좋은 기회였습니다. 이런 좋은 경험과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선물해 주신 어린이과학동아에 참 감사합니다.^^ ...
- 미래에 사라질 직업과 유망 직업기사 l20160511
- 유망직업이나 새로 생겨날 직업도 많습니다. 미래에는 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고, 더불어 삶의 질이 중요해질 테지요. 이에 환경 문제 전문가나 보건 복지 관련 직업, 문화 관련 직업, 전기전자 관련 직업, 컴퓨터 관련 직업과 제약의사, 세포검사기사, 약사 등이 미래 유망직업입니다. ... ...
- 드디어 현장교육 시작!탐사기록 l20160429
- 내일부터 4기 현장교육이 시작되네요~!한 달 동안 제비와 수청이 탐사 전문가가 잔뜩 늘어나길 기대합니다.다들 파이팅이에요!! ps. 사진은 작년에 복원사업을 통해 방사된 애기 수청이들이에요.수원 일월저수지에서 무럭무럭 자라나고 있길 :)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삼엽충에 관한 제1호 국내박사가 배출된 것이 1995년이라고 하니 앞으로 전문 학자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이다. 현재는 전문 학자들조차도 온전한 화석을 채취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그런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개개인이 소유의 목적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장소를 훼손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사실 몇 년 전 지금보다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